-
-
금강 3 - 부용
김홍정 지음 / 솔출판사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금강 1, 2권은 충암의 뜻을 잇는 사림과 중종반정으로 득세한 공신세력간의 싸움이었습니다.
이들의 소두로는 동계의 남원과 공신세력의 송판관이 생사를 두고 극한 대결을 펼칩니다.
또한 남원의 뒷배경에는 사림 뿐만아니라 연향, 미금, 금수하방, 장수패가 뒷받침하고 있다면,
송판관의 뒷배경에는 공신, 좌포청 이종사관, 경행상단, 임금이 뒤를 받치고 있습니다.
이 두 세력의 기싸움을 하며 서로를 죽이지 않고 이용하며 자기 세력을 공고히 합니다.
1, 2권에서는 연향과 미금이 충암이 꿈꾸는 만인이 평등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자금을 확보하는 이야기입니다.
처음에는 말도 안되는 이야기였지만 공신세력인 송판관을 이용해 한갖 금강의 작은 상단을 서울의 상단으로 발전을 시킵니다.
또한 소리채를 열어 조정에서 일어나는 세세한 정보와 시장에서 흘러다니는 풍문을 통해 정보를 수집합니다.
동계모임을 통해 서로를 돕는 향약을 실시하고 서로 한 식구임을 강조하며 서로를 부둥켜 앉고 살아갑니다.
하지만 이를 역모로 몰아 공신이 주도하는 세상을 유지하려는 송판관의 계략 속에 동계모임은 번번히 세력을 잃어갑니다.
1, 2권에서 연향과 미금의 죽음으로 사실상 와해된 금수하방과 이를 다시 재건할 책임이 연향의 딸인 부용에게 이어집니다.
연향과 미금은 자신이 없더라도 각 조직이 자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손을 써 둔 덕분에 부용의 일은 수월하게 흘러갑니다.
한때 왕실의 피가 흐르는 한산수가 도원에 정착하며 부용과의 인연을 맺습니다.
부용은 미래을 예지하는 꿈을 꾸고 한산수와 하룻밤을 보내고 아들 창을 얻습니다.
한산수는 불교에서 말하는 전륜성왕의 도래를 앞당기기 위해 혁명을 통해 나라를 뒤집어야 한다며 임꺽정의 무리로 들어갑니다.
끝내 세상을 바꿔보지 못하고 짧은 생애를 마감하며, 부용은 어린 창을 지키기 위해 아들을 무량사의 절로 들여보냅니다.
세월은 흘러 어느덧 1, 2권의 주인공들이 하나 둘씩 연로하고 새로운 사람들의 이야기로 3권이 흘러갑니다.
강의 흐름처럼 빠른 인간사와 더불어 임진왜란이라는 굵직한 역사의 흐름 속에 우리 선조들의 아픔이 흘러갑니다.
왜구들에 의해 학살당하는 백성, 관군과 명군을 위해 가지고 있는 것을 수탈당하는 백성, 의군을 반역의 무리로 징치하는 임금,
백성을 버린 임금, 백성이 죽든 말든 상관하지 않는 관군. 과연 이 나라는 누구의 나라인가요?
이 질문 속에 모든 것을 잃어버린 조선의 백성들은 성난 물결처럼 임금을 몰아내기 위해 의군으로 일어섭니다.
그들의 뜻을 한 번 펼쳐보고 살맛나는 세상을 만들어 보고자 그들의 목숨을 던집니다.
다시 돌아올 수 없는 아들 창을 기다리며 어미 부용은 무량사에 남아 삼만번재를 올리며 이야기는 끝이 납니다.
역사 속이야기와 절묘한 상상이 덭붙여진 역사소설입니다.
500페이지 소설을 4시간만에 다 읽을 정도로 이야기 짜임새와 전개가 탄탄합니다.
마치 대하드라마를 보고 있는 착각이 들 만큼 너무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10여년을 집필 준비과정과 2년의 인고의 과정 끝에 우리 손에 들린 3권의 책으로 2주간 참 즐겁고 마음이 아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