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6 세트 - 전6권
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김희영 옮김 / 민음사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디어 그 유명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완독했다.

이 소설은 한 번에 13권을 한꺼번에 읽은 것이 아니다. 아마도 그랬으면 굉장히 진이 빠졌을 터다.

내가 참여하고 있는 고전독서회에서 이 소설이 선정되었고, 작년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각 소재목별로 한 달에 약 2권씩 꾸준히 읽어 이제야 끝을 보게 되었다.

이 소설의 마지막권 '되찾은 시간2'를 읽고난 후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왜 이 소설이 작가들의 소설인지 납득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내 생각에 마르셀 프루스트는 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쓰기 위해 삶을 살아간 듯 싶다. 1권 초기에 과거 소년 시절의 기억을 떠올리면서 시작한(이 때 그 유명한 마들렌 씬이 나온다) 장대한 소설은 13권에서 자신이 쓸 소설의 내용을 결심하는 것으로 마무리되는데, 화자가 자신의 꿈을 작가로 정하게 된 계기에서부터, 자신의 소질을 의심하여 꿈을 거의 포기하였다가 장년기에 이르러 자신의 인생을 소재로 소설을 쓸 것에 영감을 받는 장면까지, 한 작가가 작품을 완성하는 과정이 너무나 생생하게 나온다.

또한 그 유명한 만연체의 문장들은 너무냐 치밀한 묘사와 함께 심리적 흐름을 상세하게 그려낸다. 이렇게 치밀하게 쓰기까지 마르셀 프루스트는 얼마나 힘들게 원고지를 채웠을 것인가!

그리고 이 소설 세계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의 파리의 귀족문화와 살롱 문화, 또한 그 시대의 그림, 음악, 소설, 시사 등에 대한 방대한 내용과 함께 그와 함께 살아가는 인물들의 모습도 생생하게 나온다. 그 시대의 계급의식, 부르조아 계층과 귀족 계층 간의 갈등, 그리고 작품 후반기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급속도로 변화하는 파리 사회까지 정말 벨 에포크 시대의 인류학적 보고서라 해도 손색없을 정도이다.

무엇보다 이 소설을 통해 마르셀 프루스트는 끊임없이 예술에 대해 탐구하고, 자신이 완성할 소설에 대해 계속해서 모색한다. 그리하여 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불멸의 고전으로 완성한다.

세상에는 대단한 고전이 존재하고, 모두 그 이름값을 하지만,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또한 명불허전 그 자체다. 이 소설을 완성시킨 마르셀 프루스트가 대단하고 이 소설을 번역해준 번역자에게 감사하다. 정말 대단한 독서경험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25-03-02 08: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노을님, 6개월동안 읽으셨네요. 저 어제 이 글 보고 그동안 몇 십년이나.. 미루고 미루던 프루스트 읽기 시작해보려고 바로 독서모임 만들었습니다. 올해 안에 읽어보는게 목표에요. 올해 완독하고, 완독 글 올려주신 노을님께 미리 감사드리겠습니다.

거리의화가 2025-03-02 10: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노을님 완독을 축하드립니다^^ 작년에 참 힘들게 읽었던 책이었는데 읽고 나니 참 뿌듯하기도 했던 기억이 납니다. 프루스트의 묘사력은 참으로 탁월하다는 생각을 했지요. 말씀하신 대로 당시의 사회상을 이해하고 문화, 예술을 이해하는 데 이만한 책이 없다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웃는 남자 - 상 열린책들 세계문학 85
빅토르 위고 지음, 이형식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공연 정보를 보다 빅토르 위고의 '웃는 남자'가 뮤지컬로 나오게 되는 것을 보았다. 즉 작품의 생명력이 아직까지 이어진다는 것의 확실한 증표이겠다.

하지만 내 솔직한 감상은 작품이 가진 힘에 비해 스토리의 뒷심이 조금 약하다는 느낌이다.

물론 글 자체는 대단하다. 일단 저자가 빅토르 위고 아닌가. 레미제라블 때도 느꼈지만 빅토르 위고는 영국의 17세기 역사와 문화를 너무나 생생하게 그려냈다. 제임스 2세가 폐위되고 그 딸인 메리와 윌리엄 3세가 왕위를 이어받는 명예혁명을 배경으로, 왕실과 귀족 간의 권력다툼과 숨겨진 비화, 그리고 그 당시 인기가 폭발한 서커스를 위해 자행된 비인간적인 행위로 인해 영구 장애인이 된 주인공 그윈플레인의 사연 등, 정말 그 시대를 그리기 위해 엄청난 자료조사를 했음을 분명히 드러낸다. 또한 호방한 필체로 그 시대의 모순을 너무나 통찰력있게 그려낸다.

하지만 사실 웃는 남자, 그윈플레인의 서사는 소설의 분량에 비해 그렇게 많지 않다. 저자는 17세기 영국의 귀족사회와 하층민의 생활을 그려내는 것에 더욱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으며, 그윈플레인이 어떠한 이유로 대귀족의 유일한 후계자에서 어린이매매단에 납치되어 기형의 얼굴을 가지게 된 것인지의 과정이 1권하고도 2권 초반까지 나오고, 그윈플레인에게 닥치게 되는 불행에 대한 스토리는 앞 부분의 힘있고 호방한 필체에 비해 조금 아쉽다고 할 만큼 충분히 다루지는 않은 느낌이 들었다. 즉 작가가 인물의 이야기보다는 주제에 더욱 집중했다는 것이 나의 감상이다.

물론 저자가 빅토르 위고이고, 그러니 작품의 질은 대단히 높은데, 다만 나로서는 이 소설보다는 '레미제라블'이 더욱 감동적이었다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저자가 의도한 주제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이 무엇인가'는 대단히 잘 그려졌다고 장담한다. 역시 빅토르 위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5-02-28 2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릴 때 장발장 읽고 다 읽었다 생각하며 레미제라블도 안본 저에요. 요즘 빅토르 위고 막 추천하는 분들이 있으니 봐야지싶네요. 물론 생각은 늘 합니다만 역시 분량이.... ^^

노을 2025-02-28 23:36   좋아요 1 | URL
저도 그래서 겨우 몇년전에 레미제라블 민음사편 읽었는데 어릴 적 장발장과는 차원이 다른 감동이었습니다. 대단한 작품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