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을 통한 인식으로 보는 주체와 보이는 레퍼런트는 같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 어렸을 때에도 낯설어 했던 거 같다.
거울상 이성질체가 제일 먼저 떠올랐고 시선으로 인식할 수 있는 건 극히 제한적인 이미지일 뿐이다. 그건 내가 불완전한 시각을 갖고 있어서일지도 모르겠다.
애초에 서구든 우리나라에서 사용했던 강가의 수면이나 청동거울 같은 것은 뿌옇게 대상이 비치는 물건에 불과했다. 벽에 비친 그림자만큼이나 부정확하다. 그래서 자기인식의 초기단계로 인식이 되긴 했겠지만 그보단 가상, 이데아, 이미지를 인식하는 도구가 돼 오지 않았을까. 오히려 ‘나’라는 존재의 인식은 거울의 외부에서 발달해왔다.
무슨말 하는진 알겠지만 이런 생각들이 떠올랐다. 아마 수업으로 들었으면 질문을 많이 했을 것 같다. 철학수업, 문학수업, 여성학 수업에서 이런 나의 의문에 성심성의껏 대답해주셨던 교수님들이 떠올라서 잠시 나는 또다시 스승을 만나는 인연의 운이 아주 좋았구나 생각한다. 특히 메데이아랑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가르쳐주신 분은 요즘도 가끔 생각한다. 정말 훌륭한 분이셨다. 내가 비난할 의도가 아니었음을 알아주셨고 내가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명쾌하게 설명해주셨었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를 건강하게 듣지 못하는 강사/교수라면 나는 또 수강철회를 하겠지. ^^;

서구 철학 전통에서 거울은 자기 인식의 단계이자 도구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거울을 통한 인식은 착각에 불과하다. 자기 눈으로 자기를 본다? 보는 주체와 보이는 대상이 같다면 자기 복제가 아닌가. 결국 자기 시력(視歷) 수준에서밖에 볼 수 없다. 보고 보이는 것으로부터 자유. 안다는 것은 보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는 과정에서의 관계성이다. 인간은 자기 외부의 타자를 통해서, 나와 다른 타인을 통해서, 서로 시선을 주고받으며 부분적으로 자기를 인식할 수 있을 뿐이다.
7%
자기복제 부분 빼고 공감.

미당의 거울은 어설픈 흉내다. 나르시스의 거울, 바슐라르의 투명한 거울(90쪽)은 서구에도 없다. 거울의 위계는 곧 존재의 위계다. 녹슨 구리 거울, 감옥의 플라스틱 거울, 공중 화장실의 얼룩진 거울, 요철(凹凸) 렌즈……. 여성, 제3세계 민중, 주변인에게는 투명한 거울이 주어지지 않는다. 윤동주는 정확했다. "구리 거울은 욕되다."
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 분량이 잘 감이 안 온다. ;;; 몇그램 몇 미터짜리 실 몇볼 이게 익숙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서 많은 초보 컬렉터가 경매 가격이 시장 가격이라고 생각한다. 더불어 갤러리 가격에는 함정이 있거나 비밀스럽거나 폐쇄적이라고까지 생각한다.
188/464
이거는 지금 다시보니 아닌듯.
물론 가격을 감정해서 책정하지 않는 갤러리들도 많겠지만…

그래서 많은 초보 컬렉터가 경매 가격이 시장 가격이라고 생각한다. 더불어 갤러리 가격에는 함정이 있거나 비밀스럽거나 폐쇄적이라고까지 생각한다.
188/4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월탄 박종화가
난초가 술주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는 말이 왜 웃기지. 슬픈 일이긴 한데… 시대를 잘못 만나 40년간 술주정만 난초요, 옥이라니….

형산의 흰 구슬이 술을 마시니 광채가 더한 것이오, 유곡의 난초가 술주정을 40년하니 귀한 것이다. 수주 지나간 반평생이 50여 년, 세상 됨됨이가 옥 같은 수주로 하여금 술을 마시지 아니치 못하게 한 것이 우리 겨레의 운명이었으며 난초 같은 자질이 그릇 시대를 만났으니 주정하는 난초가 되지 않고는 못 배겨내었던 때문이다。 - P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렇게 단순했던 나의 감상 방법이 오귀스트 로댕에 대한 조사 업무를 계기로 달라졌다. 로댕의 인생과 당시 프랑스의 정세를 정리할 때 ‘경영 전략 기획에 사용되는 PEST분석* 방법이 효과가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했고, ‘틀’에 맞춰 정보를 정리하면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아챘다. 실제로 프레임 워크 방식을 적용해 보니 작품의 내면을 들여다보기가 가능해졌다.
16%

*PEST분석(거시적 환경 분석): 기업의 경영 전략을 수립할 때 의사결정과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파악에 자주 활용되는 분석 도구이다. 정치, 경제, 사회문화, 기술 요인으로 나누어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역주)

이번에는 ‘나는 얼마나 미술을 깊게 이해할 수 있을까?’라는 점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 지표를 소개한다.
19%

파슨즈의 발달이론으로 본 다섯 단계

마이클 J. 파슨즈*는 미술 감상의 레벨을 다섯 단계로 분류했다.
*  마이클 J. 파슨즈(Michael J. Parsons, 1935~): 미국의 예술교육학자 (역주)  

제1단계: 편애주의(Favoritism)
제2단계: 미와 사실주의(Beauty and Realism)
제3단계: 표현성(Expressiveness)
제4단계: 양식과 형식(Style and Form)
제5단계: 자주성(Autonomy)  

쉽게 풀어쓰면,

제1단계   ‘직감적인 판단, 좋거나 싫다’ 단계
주제나 소재에 대해서 단순한 감상을 떠올리는 단계이다. 배경지식과 정보가 전혀 없을 때 이 단계에 머물게 된다.
일차원적인 감상.    

제2단계   ‘사실적인 묘사가 좋다’ 단계

제3단계   ‘예술가의 인생과 표현이 좋다’ 단계
작품의 사실적인 표현보다 분위기를 눈여겨보는 단계.
예술가의 삶을 작품에 투영하여 평가하는 단계
예술가의 입장에 이입하여 공감하거나 자기의 선호도를 잣대로 작품을 평가한다.    

제4단계   ‘미술사를 바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제5단계   ‘평론가처럼 독자적인 의견을 제시한다’ 단계

19%

하우젠의 미적 감수성의 다섯 단계 앞서 소개한 파슨즈의 이론에 더하여 감상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지표는 MoMA(뉴욕현대미술관)의 아비게일 하우젠*이 연구한 ‘감수성의 단계’이다. 파슨즈의 발달이론과 매우 비슷한 내용이라서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  아비게일 하우젠(Abigail Housen): 미국의 인지심리학자, 미학자 (역주)  

21%

하우젠도 파슨즈와 마찬가지로 다섯 단계로 감상자의 수준을 정의했다. 그리고 감상자의 80% 이상이 다섯 단계 중에서 제2단계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즉, 회화 작품 등을 볼 때 표면으로 드러나는 주제 대상(What?)과 그것을 그린 방법(How?)을 기준으로 ‘잘 그린 점이 대단해’, ‘내가 좋아하는 고양이를 그려서 좋은 그림’처럼 작품을 판단하는 단계에 속한다는 것이다.
21%

‘3P’란 이 책의 콘셉트이기도 한 ‘Period(시대), Place(장소), People(사람)’의 세 가지
23%

미술 감상에 도움이 되는 첫 번째 준비단계는 ‘3P’ 분석이다. ‘3P’란 이 책의 콘셉트이기도 한 ‘Period(시대), Place(장소), People(사람)’의 세 가지를 말한다.
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