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도덕적 추론을 이와 달리 생각하면, 즉 인간이 자신의 사회적 의제를 관철시키기 위해(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자신이 속한 팀을 방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라고 생각하면 우리는 좀 더 현실에 수긍할 수 있게 된다. 직관에서 늘 눈을 떼지 말라. 그리고 도덕적 추론은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라. 도덕적 추론이란 대체로 그때그때 맞춰 만들어지는 사후 구성물로, 하나 이상의 전략적 목적을 염두에 두고 치밀하게 만들어진다.

3%


개충격이네

"우린 다 같이 사이좋게 지낼 수 있잖아요?"

로드니 킹(Rodney King)의 이 간곡한 호소가 유명해진 것은 1992년 5월 1일, 흑인인 그가 로스앤젤레스의 경관 네 명에게서 거의 죽을 지경으로 구타를 당하고 약 1년 뒤의 일이었다.

((중략))


그럼에도 이 문장을 밀고 나가기로 마음을 굳힌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요즘 들어 킹의 이 질문은 인종 관계만이 아니라, 미국의 정치 관계와 정당 협력의 붕괴에까지 적용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최근 저녁 뉴스 시간에 워싱턴 정가의 소식을 듣고 있으면, 마치 워싱턴 상공의 헬리콥터로부터 전쟁 특보라도 전해 듣는 느낌이 든다.

이미 진부해질 대로 진부해진 문장을 가져다 이 책의 서두를 열어야겠다고 생각한 두 번째 이유는, 세간에 화제가 된 일은 거의 없지만 그 뒤에 이어진 킹의 말이 참으로 애틋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렁그렁 차오르는 눈물을 애써 참으며, 또 이미 했던 말을 수시로 되풀이해가며 애면글면 텔레비전 인터뷰를 이어가던 킹은 어렵사리 이런 말을 꺼내놓았다. "제발, 우리 서로 사이좋게 지내요. 우리는 다 같이 사이좋게 지낼 수 있어요. 어차피 한동안은 이 땅에 다 같이 발붙이고 살아야 하잖아요. 그러니 서로 노력을 해나가자고요."

우리는 서로 사이좋게 지내기가 왜 이렇게 어려울까? 이 책은 그 까닭을 밝히기 위해 쓴 것이다. 우리는 어차피 한동안은 이 땅에 다 같이 발붙이고 살아가야 한다. 그러니 우리가 왜 그토록 쉽게 내 편 네 편으로 갈려 으르렁대는지, 그러면서 왜 저마다 자신이 바르다고 확신하는지, 그 까닭을 이해하기 위해 최소한이라도 노력을 기울여보자.

2%

그런데 나는 바름에 대한 강박(이는 불가피하게 독선으로 이어진다)이 정상적인 인간이면 누구나 겪는 증상임을 이 책에서 보여주고자 한다. 곧 바름에 대한 강박은 우리 인간의 진화상 설계에 나타나는 한 가지 특성으로, 우리 마음에 몰래 기어들어 온 버그나 오류는 아니다. ‘이것만 없었으면 우리는 얼마든지 객관적이고 합리적이 될 수 있을 텐데’ 하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이다.6

2%

1부에서 소개하는 첫 번째 원칙은 "직관이 먼저이고, 전략적 추론은 그다음이다"라는 것이다.7 도덕적 직관은 자동적으로, 그리고 거의 일순에 떠오른다. 도덕적 직관은 도덕적 추론보다도 훨씬 앞서 일어나며, 차후에 일어나는 추론도 처음의 이 직관이 이끌어가는 경향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도덕적 추론이야말로 진리에 다다르는 수단이라고 여기면, 매번 낙심을 거듭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나와 의견이 다른 사람을 만나 이야기를 나눌 때마다 그들이 너무도 어리석고, 편견에 가득 차고, 비논리적인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덕적 추론을 이와 달리 생각하면, 즉 인간이 자신의 사회적 의제를 관철시키기 위해(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자신이 속한 팀을 방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라고 생각하면 우리는 좀 더 현실에 수긍할 수 있게 된다. 직관에서 늘 눈을 떼지 말라. 그리고 도덕적 추론은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라. 도덕적 추론이란 대체로 그때그때 맞춰 만들어지는 사후 구성물로, 하나 이상의 전략적 목적을 염두에 두고 치밀하게 만들어진다.

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