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실버 노동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데, 어느 정도는 나의 일이기도 하다는 생각에서다. 먼 훗날 나 역시 일자리를 찾아 배회하는 육십대 여성이 될 것이다. 그때까지 소설을 쓰며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을 거라고 낙관하는 소설가는 아마도 많지 않을 것이다. 지금도 소설을 써서 먹고 사는 일이 참 위태롭다는 생각을 하는데, 육십대가 되어서도 소설 쓰기로 밥벌이를 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는 거의 하지 않는다.
실버 노동은 다른 노동 문제에 비해 답을 찾기가 정말로 어려운 것 같다. 노년층의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하지만, 청년층 일자리가 더욱 시급하단 생각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앞으론 노년층 일자리 문제에 모두가 관심을 기울였으면 좋겠다. 이 책에서 그린 육십대 여성들은 노동을 원하거나, 노동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그들의 풍족하지 않은 삶은 은퇴 후 연금 수령이라는 안정적인 루트에서 한참 벗어나 있다. 내가 주변에서 자주 목격하는 육십대 여성들 역시 그런 경우가 많았다.

87/13

언젠가 공원에서 이웃 노인들과 한참 수다를 떨고 온 엄마가 내게 이렇게 말했다.
"다들 3천 원만 벌더라도 누군가 일 좀 시켜줬으면 좋겠대."
"3천 원? 너무 적은 거 아니야?"
"우리한텐 아니야. 3천 원만 벌어도 좋겠어."
나는 엄마에게 일자리를 같이 찾아보자고 말하며, 하루에 3천 원이 아니라 3만 원도 벌 수 있다고 허풍을 떨었다.

88/103

과일을 정말 좋아하는 우리는 재래시장 과일 가게에 자주 간다. 그러나 먹고 싶은 과일을 사는 게 아니라 그날 싸게 파는 과일을 산다. 과일 가게가 사라고 제안하는 과일을 사는 것이나 다름없다. 어떤 과일은 맛있지만, 어떤 과일은 아무런 맛이 나지 않거나 신맛만 날 때가 있다. 싸게 파는 것이니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너무 맛이 없으면 잼으로 만들어버린다. 그렇더라도 잼이 되는 과일보다 뱃속으로 곧장 들어가 피가 되고 살이 되는 과일이 더 좋으니 매우 심혈을 기울여 과일을 고른다.

89/103

어릴 때부터 나는 후회 없는 삶을 살고 싶었다. 어떤 선택을 하든 상관없지만, 선택에 대한 후회는 없어야 했다. 왜 그런 태도를 갖게 되었는지 생각해보았더니 아무래도 엄마가 범인인 것 같았다.
엄마는 후회를 정말 많이 한다. 틈만 나면 후회를 한다. 젊은 시절의 잘못된 선택과 결혼, 그 이후의 달라진 삶과 노년으로 접어든 지금의 삶을 모두 다 후회한다. 어찌나 후회가 깊고 자세한지 엄마의 말을 듣다보면 엄마를 환생시켜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다시 태어나서 엄마가 원하는 인생을 후회 없이 살아봐야 할 것 같다. 그러면서 마음 한편으론 나는 절대로 엄마처럼 후회하며 살지 않을 거라고 다짐했다. 어떤 선택을 하든 열심히 그것을 하고, 후회는 절대로 하지 않는 것으로 말이다. 그러나 살아보면 안다. 후회가 자꾸만 고개를 쳐드는 순간이 있다는 것을.

90/103

후회해도 된다.
엄마처럼 아주 많이 후회해도 된다. 완벽하지 않은 삶을 살았다고 자책하는 것이 이상한 일이라는 걸 깨달을 때까진. 그걸 깨닫고 나면 후회가 아무런 소용없는 일이라는 걸 알게 된다.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는 게 아니다. 완벽한 삶이란 원래부터 없다는 뜻이다.
90/103

이 글을 쓰며 제목을 ‘나의 엄마, 나의 딸 연에게’라고 지었다가, 지웠다. 엄마의 엄마인 척하지만, 나는 엄마의 엄마인 할머니보다 엄마에게 훨씬 못해준다. 엄마의 엄마인 척하지만, 나는 여느 엄마들이 하지 않는 생색내기를 참 많이 한다. 엄마의 엄마인 척하지만, 멀리서 엄마를 보면 잘 못 알아본다. 모르는 아주머니를 엄마로 착각한 적도 부지기수다. 그렇더라도 나는 엄마가 나의 딸 같다는 글을 잘도 쓴다.
엄마가 이 뻔뻔한 글을 읽을 시간이 있다면, 차라리 무지개떡 배우의 사진을 한 번이라도 더 보는 편이 나을지도 모르겠다.

92/103

소설 작법에서는 인물을 그릴 때 그의 행동의 동기, 또는 그가 지닌 욕망을 제시하라고 말한다. 소설은 근대의 산물이고, 근대는 개인의 자유 의지가 그 무엇보다도 가치 있다는 신념에 바탕을 둔 시대였으므로, 소설의 인물을 소개할 때도 무엇이 그의 행위를 추동하는지가 중요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서수의 소설에서 인물은 주거, 노동, 그리고 채무의 조건과 함께 독자에게 소개된다. 인물의 동기는 그것들과 분리되지 않고 단단하게 결부되어 있다. 모든 인물은 주거와 노동과 가처분 소득으로 설명되는 존재, 다시 말해 살이와 벌이와 씀씀이의 존재인 것이다.

94/1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