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겨울 정원 - 2025 제19회 김유정문학상 수상작품집
이주란 외 지음 / 은행나무 / 2025년 10월
평점 :

2025 제19회 김유정문학상 수상작 및 다른 후보 작가들의 작품집이 실렸다.
작품 수상작에 관한 심사위원들의 평을 읽은 후 접한 수상작은 역시 좋다! 였다.
누구나 인생의 한 끝에 다가서면 알게 모르게 담담함과 따뜻한 여운, 쓸쓸함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그린 수상작 '겨울 정원'은 제목처럼 그렇게 다가왔다.
60대의 혜숙은 오피스텔 건물 청소원으로 일하고 있는 여성이다.
하루의 일과라야 똑같은 시간에 기상해서 출근하고 점심을 먹으며 퇴근하는 일상이 어느 누구의 삶과 비교해도 특별날 것이 없지만 우리는 알지 않은가?
그 똑같은 삶 속에는 하루하루가 같을 수는 없다는 사실말이다.
예측불허의 잔잔한 소용돌이가 숨어 있는 일상의 패턴이 어느 날 마음에 맞는 사람을 만나지만 그의 딸들이 찾아오면서 결국 헤어지는 과정을 통해 연차가 쌓인 그녀는 그의 딸들을 이해한다.
이해한다는 마음 한편에는 울컥하는 아픔과 슬픔이 있고 딸의 짝사랑 얘기와 그 후의 이야기 진행은 또 하나 삶의 다른 물결이다.
푸릇하던 나무와 꽃들이 계절의 힘을 맞으며 잎이 하나둘 떨어지고 앙상한 가지만 남았을 때 바라본 정원은 마냥 쓸쓸하다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자연의 이치란 것이 다시 찾아올 새로운 계절을 맞이하기 위해 겉으로는 앙상한 모습이지만 그들 나름대로 땅 속 뿌리는 저마다 힘겨운 겨울을 이겨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므로 혜숙이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모든 일상들 또한 차분한 분위기로 시종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참 좋았다.
누군가는 하루에도 숨이 넘어갈 만큼 요지경 긴박한 날을 보내는 이도 있을 터이고 누군가는 새로 시작하는 설렘으로 인한 기쁨을 가득 차 있을 하루의 그 모든 것들을 생각나게 하는 작품이다.
1인칭 시점으로 전개되는 혜숙의 일상이 그래서 더욱 와닿았고 100세 시대를 바라보는 현재 60이란 나이는 과거의 60대와는 확연히 다르다는 것, 딸과의 대화를 통한 삶의 석양이 차분하다는 것을 느껴본다.

이외에도 타 작품들의 저자들이 워낙 명성이 있어 심사위원들이 나름 고심을 많이 했을 것 같다 생각이 들었다.
한국 단편소설이 지닌 매력을 읽어보는 시간들이 소중했고 특히 '그동안의 정의'는 마음이 뭉클해지며 수상작과는 다른 느낌으로 다가왔다.
소식을 모르고 살다 15년 가까이 다돼서 알게 된 오빠의 자식인 현수를 바라보는 주인공의 마음이 첫 조카 탄생을 두고 온 집안의 신경이 온통 쏠렸던 기억이 새록새록 끼어들었다.
유전의 힘과 혈연의 뿌리는 자신과 닮았다는 사실에 힘을 실기도 하지만 뭣보다 현수가 정말 사랑스러운 아이라 그 애정이 절로 나올 수밖에 없음을 느낀다.
어느 것 하나 놓칠 수 없는 작품들이라 한국 소설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만족할 듯싶은 작품집, 읽어보세요.~
***** 출판사 도서 지원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