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인간을 꿈꾸는가 - 인간과 비인간, 그 경계를 묻다
제임스 보일 지음 / 미래의창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AI의 등장은  이제 실생활에서는 물론이고 체험으로 겪는 여러 가지 일들을 생각해 볼 때 필수의 시대로 접어든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동물과 인간의 관계가 소통하는 데에 있어 서로의 존재를 인식하고 행동이나 음성을 통해 같은 감정선을 느낀다고 할 때 AI가 지닌 이점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느낀다.



이 책은 듀크대학 로스쿨 교수이자 디지털 권리의 선구자인 제임스 보일이 여러 분야(기업, 동물, 뇌사환자, 유전자 조작을 통한 생명체, 키메라, 배아, AI)란 역사를 통해 우리 인간들이 누구에게 인격을 부여했으며 우리 사회는 그 경계를 어떻게 설정했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만일 AI의 발달로 인간처럼 생각하고  인간의 명령을 인간처럼 받아들인다면 AI는 인간으로  생각할 수 있을까? 에 대한 물음은 현재 우리 삶 속 도처에 깃든 편리성이란 점을 생각하면 더욱  깊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현재 검색엔진이나 필요에 의한 자료조사를 비롯해 의문점들을 묻는 도구들 사용도는 이를 이용하고 있는 이들에겐 없어서는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도 분명 있고 일례로 로봇청소기나 로봇 의료기계, 약 먹는 시간을 알려주는 기능을 탑재한 것들을 생각하면 이점도 있지만 이러한 것들의 발전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선다면 사피엔스의 세계는 인간과 지인간 사이의 경계를 넘어선 누가 주인이 될 것인가에 대한 물음이 주는 두려움이  앞서는 것도 사실이다.








동영상 채널에서 과학자가 들려주는 사례들을 들어보면 기업의 차원에서나 국가 주도적인 AI의 투자와 국제적인 경쟁구도는 이미 상상을 넘어 또 다른 세계 진입을 앞두고 있다는 사실이다.




인간이 타종보다 뛰어난 점은 생각하는 존재란 것과 읽고 쓴다는 행위를 가진다는 것인데 이제 인간의 한계를 넘어선 AI의 출현이 머지않은 시대가 도래한다면 과연 지구상에서 인간이 설 곳은 있는 것인지, 과학의 발달이 주는 문명의 발달이 인격체란 이름으로 인간과 동종의 삶을 함께하는  AI 인공지능이란  존재가 있다는 것은 양면의 날과도 같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렇기에 이를 대비한 미래의 길은 인간들이 어떻게 AI를 이용하고 다루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여실히 느껴볼 수 있는 시간이 된 책이라 관심 있는 분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