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벨 1
R. F. 쿠앙 지음, 이재경 옮김 / 문학사상 / 2025년 8월
평점 :

전 작품인 '옐로 페이스'를 읽고 읽어보고 싶었던 작품이다.
제목을 접하고선 성경에 나오는 단어를 왜 사용했을까? 에 대한 내용이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이게 했는데, 저자의 세세한 당 시대의 흐름들과 표현들이 작품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돕는데 도움을 주었고 이 작품 자체를 창작했다는 데서 놀랍다는 느낌이 우선 들었다.
배경은 중국 광둥에서 전염병이 돌면서 엄마를 잃은 어린 소년을 옥스퍼드 대학 왕립번역원 대학 교수인 러벌 교수가 영국으로 데려오면서 시작한다.
자신의 이름을 로빈 스위프트라 지은 소년은 영국이 필요로 하는 인재 중 한 사람으로 뽑힌 이들 중 하나였고 그의 동기들 또한 식민지 출신들이거나 영국 내에서도 신분이 높은 이들이 가는 곳. 일명 바벨이라 불리는 왕립번역대학교생들이다.
이곳 바벨에서 배우는 실버워크 마법은 자국의 언어와 영어 사이의 번역에서 오는 빈틈을 매워주며 영국에서 세계를 지배하는데 필요한 장치였으니 교수를 비롯한 학생들은 학문 배움이란 이름 아래 필요한 지식들을 흡수한다.
하지만 19세기 초반 은(銀) 산업혁명으로 식민지를 개척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임무가 번역이란 이름 하에 하나의 도구로 사용되고 자국의 비참한 식민지 전락의 모습을 깨닫는 순간 그들은 자신들이 해야 할 일들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에 휩싸인다.

이는 로빈이 현재의 환경에 안주하길 바라는 마음과 자국인 중국이 아편으로 망해가는 전조에 대한 모습을 통해 갈등하는 모습으로 대조되는 것을 통해 어떤 과정으로 이어질지 궁금증을 유발한다.

저자가 펼치는 내용들은 '은'을 정복함으로써 세계제국 패권을 이어가는 영국을 배경으로 언어를 이용하고 번역하는 과정에서 식민지로 점령하는 계획, 언어를 지배함으로써 식민지 국가들을 더욱 쉽게 다룰 수 있다는 역사적인 흐름과 함께 산업혁명과 자본주의 발달에 따른 노동자와 농업의 초토화 과정이 어떻게 허물어지는지를 현실과 가상을 접목해 그린 점들이 시종 흥미진진하게 그려낸다.
여기에 번역이란 중간자 고리가 이어질 때 영향력들이 미치는 과정들은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는 과정을 다시 곱씹어 보게 하고 한 편의 대체소설이라고 그려낸 작품이지만 작가가 전 작품에서 다룬 것처럼 재미와 더불어 진지한 생각할 부분들을 건드린다.

작품 속 바벨은 번역에만 머무는 것이 아닌 산업화 이면에 감춰진 불편한 진실들과 만일 바벨의 로빈이 하는 일들을 대체할 기계가 발명된다면(요즘 번역기) 이 또한 이들의 안전 보장도 없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들을 던진다.
특히 저자는 작품 속에서 단어의 탄생과 유래를 통해 어떻게 인간들의 말로 다루어지는 지를 보여주는 것 또한 보여줌으로써 독자들의 관심을 유도한다.

번역이란 것에 덧대 단어가 지닌 힘을 그린 것은 물론 환상소설을 이용해 저자가 그린 세상 속은 제국주의가 보인 식민지 지배는 물론 개혁과 사회불안, 고용불안정, 불평등이란 문제점들을 빅토리아 시대를 통해 오늘날 우리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떠올려 보게 되는 소설로 인상 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