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온실 수리 보고서
김금희 지음 / 창비 / 2024년 10월
평점 :
작가의 작품을 처음 대한 것이 '경애의 마음'이다.
책을 읽다 보면 내용에 대한 리뷰를 쓰고자 할 때 머릿속에서는 폭발하듯 중구난방 단어가 쏟아져 나와서 어떻게 써야 할지에 대한 순서를 못 잡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내용에 관한 개인적 공감마저 서툴러 작가가 그린 내용에 대해 정리를 함에 있어 당황스러울 때가 있다.
'경애의 마음'이 그랬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 '복자에게'도 그렇지만 작가가 써 내려간 그들의 마음이 독자들에게 가슴속에 와닿게 하는 친밀감과 그들에게 다가서고 싶다는 마음이 들게 하는 문장들은 이 작품에서도 여전한 빛을 발한다.
한때 창경원이란 이름으로 일제강점기 동물원으로 자리 잡았고 역사 속에서 지금의 자리를 찾기까지 현존하는 건축물 중 하나란 점에서 이 작품 속에 등장하는 대온실은 설렘을 전한다.
강화도 석모도에서 영두가 중등학교 교육을 위해 안문자 할머니가 운영하는 낙원하숙집에 지내던 과거의 회상과 그 시절 억울함과 뼈아픈 상처들로 인한 추스르는 과정은 다시 바위건축사 사무소에서 발주를 따낸 대온실 수리 보고서를 작성하는 계약직 직원으로 일하게 되면서 과거의 그 장소를 마주하게 된다.
그녀의 가슴에 아직도 남아있는 첫사랑 순신이나 함께 지냈던 리사, 그 외에 하숙집에 동거하면서 저마다의 인생을 살아갔던 이들의 이야기는 대온실을 건축하고 배양실 밑에 드러나지 않은 과거들이 그 시대를 살아갔던 사람들의 아픈 사연으로 이어지면서 영두 또한 인간에 대한 배려와 사랑에 대한 이해는 무엇인지, 여기에 문자 할머니의 기막힌 인생이 더해지면서 역사와 함께 시대를 견뎌낸 이들의 이야기들이 심금을 울린다.
보고서 작성을 하기 위한 문헌에 대한 조사나 발굴과정을 허락받기까지의 절차들이 상세하게 묘사된 부분은 책이나 영상을 통해 문화재에 대한 소중함을 다시 일깨우기도 하고 해방과 한국 전쟁 속에 조선인과 일본인들이 서로 관계를 이어가면서 또 하나의 진실 찾아가는 여정은 마음이 많이 아팠다.
특히 문자 할머니가 남긴 하숙집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던 리사의 여전한 모습에서는 인간은 고쳐가며 살아가는 것이 아니란 말이 떠오르기도 했는데, 여전히 과거의 아픈 기억의 잔재를 지닌 영두를 보면서 문자 할머니가 자신에게 다가왔지만 마음의 문을 닫았던 그 시절의 영두 학생의 모습이 아련한 마음을 일으켰다.
작품 속에서 나도 한 발 한 발 창경궁 근처를 배회해 본다.
영두와 순신이 함께 탔던 자전거를 지나쳐 보기도 하고 잿물에 빨래를 한 옷이 하얗다 못해 시린 푸른 하늘처럼 보였던 옷들이 걸린 낙원하숙집을...
이해를 한다는 것, 지금의 시간과 다른 시간들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강물처럼 흘러 흘러 굳게 닫힌 마음의 빗장이 서서히 열리는 시기가 올 것이란 희망 아래 영두가 끝까지 지켜내고자 했던 그 마음들에 응원을 보낸다.(단 순신과의 해후를 좀 더 할애했다면 좋았겠단 바람이 크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