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사랑 이야기 - 깨달음의 나라 인도가 전하는 또 하나의 특별한 선물
하리쉬 딜론 지음, 류시화 옮김 / 내서재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류시화라는 작가를 좋아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인도"라는 나라가 주는 어떤 환상적인 이미지도 간직하고 있기도 하고, 무질서 속에 내면해 있는 영혼의 구원의 나라란 인식이 강했던 탓도 내재되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그러기에 두말 없이 이 책을 읽었다. 이 책에는 공통된 소재의 이룰 수 없었던 네 쌍의 연인의 사랑이야기가 나온다. 모두 카스트의 경계를 허물고 기본적인 인간 대 인간으로서 느낀 사랑이란 감정앞에서 충실했던 남.녀의 이야기다. 모두 수천세기를 거슬러 올라가서 구전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를 후대에 이르러 정리한 것을 책으로 엮었다. 영화화 되기도 한 것도 있다고 전해지는 이 이야기는 북 인도와 오늘날의 파키스탄에 걸친 북 펀자브 지방에서 전해 내려오고 무덤까지도 존재하는 실존 이야기들을 다루고 있어서 흡사 우리나라의 애절한 남.녀 사랑이야기와도 비슷하다. 지금처럼 통일된 나라 인도가 아닌 각 부족들이 다스리고 있던 시기에 나이차를 넘어선 지순한 사랑의 이야기인 소흐니와 마히잘의 이야기는 조강지처를 두고서도 소흐니와의 사랑을 이루기 위해 자신의 처지까지도 떨어뜨린 마히잘 신분이 된 사랑얘기, 조강지처의 남편의 안위를 위해서 기꺼이 이혼을 감수하는 사랑법이 가슴이 아프게 전해진다. 사씨와 푼누의 부족간의 명예때문에 희생양이 된 사씨와 푼누의 뭉클한 사랑얘기는 과연 사랑앞에서 명예란 것이 그토록 목숨보다 소중히 여겨져야만 하는지에 대한 물음이 생긴다. 미르자와 사히반의 얘기 또한  사랑하는 그녀의 오빠를 무찌를 수 밖에 없는 정당방위 앞에서 비참한 사랑의 보편적 진리를 행하는 미르자의 행동 또한 가슴이 아려온다. 마지막 히르와 란자의 이야기는 사실과는 다르게 후세 사람들이 함께 살 것이란 생각을 하고 있단 말엔 불멸의 사랑이란 단어 앞에선 그 어떤 장벽도 아무 소용이 없단 사실을 내세운다. 전체적으로 인도인의 정신세계인  자신이 이승에서 베픔의 정신은 훗날 내세에 가선 그 보답이 반드시 내게 돌아온다는 실천적인 가르침을  알리고 그것을 실천하는 두 남녀의 아름다운 행동 실천이 나온다. 결국엔 모두 이룰 수 없는 아름다운 인간의 사랑 이야기로 마무리 되지만 지금도 이런 어려운 사랑을 함으로써 힘든 모든 사람들에게 희망의 이야기가 될 것 같다.  

 

*****  우리 모두는 운명의 손에 들려진 장난감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 사실을 믿지 않는다. 우리는 꿈을 꾸고, 그 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을 하고 구상을 하지만, 단 한 번의 손짓으로 신은 우리의 모든 꿈을 부수고 우리의 계획들을 산산조각 낼 수가 있다. 다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지금 우리에게 있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지금 이 순간을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일뿐이다. - '소흐니와 마히왈'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