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과 소설가 - 대충 쓴 척했지만 실은 정성껏 한 답
최민석 지음 / 비채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충 쓴 듯 하지만 실은 정성껏 한 답이란 표지가 눈에 띈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하루에도 몇 번씩의 결정을 하게 되는 연속의 시간들, 특히 2030 세대들이 격한 공감을 하게 될 고민 상담들은 당사자에 해당되는 나이에 든 독자들에겐 많은 동조를, 그 시기를 넘긴 사람들에겐 과거의 나가 겪었던 일들을 반추해보는 게기가 되는 책이다.

 

소설가로서 이번에는 질문에 성실한 답변, 특히 각 주제에 맞는 질문에 저자가 때로는 실제로 겪었던 경험담과 조금이나마 고민을 해결할 수 있게끔 제시해주는 글들은 시종 유쾌하면서도 경쾌하고 그러면서도 진지함을 유지한다.

 

 자아/ 사랑/ 관계/ 미래... 이 주제들이 인생을 살아가면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성을 지닌 것이다 보니 어쩌면 지금의 청춘들이 겪는 고민들도 당연한 것이 아닌가 싶다.

 

사회초년생으로서 겪는 관계, 연애상담과 책과의 관계....

어는 것 하나 허투루 지나칠 수 없는 주제가 담긴 고민들을 읽노라면 꼭 젊은 청춘만이 아닌 보편적인 삶에 대한 고민들을 저자 나름대로의 해석과 제시를 한 책이란 생각을 해 본다.

 

특히 관계 부분에서 다루는 글들은 나이를 떠나 삶을 지속하는 한 계속 이어갈 수밖에 없는 것이기에 저자 나름대로의 논리를 읽는 재미 또한 쏠쏠하고 공감 가는 부분 또한 많음을 느끼게 된다.

 

작가로서의 마음가짐이라고 해야 할까?

상담을 해오는 내용들 중에 대한 답변은 저자의 글 쓰는 것을 업으로 살아가는 자로서 다짐하는 글이라고 생각되는 답변이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 그 외에 가장 필요한 것은 성실함입니다. 때로 지치고 창의력이 떨어지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지겠지만, 그때에도 손가락을 움직여야 합니다. 비록 공개하지 않을 글을 쓸지라도, 혼자만의 글이 될지라도, 작가는 꾸준히 써야 합니다. 작가는 단 하나의 위대한 작품을 쓰는 사람이 아니라, 범작이라도 꾸준히 쓰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p218

 

어디 글쓰기에만 해당되는 말이 아닌 실제 생활에서 성실함의 중요성을 다시 일깨워주는 문장이란 생각이 든다.

 

또한 때론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문제들도 심플하게 생각하고 실천하는 저자의 글을 읽고 있노라면 나가 해보지 못하고 머뭇거렸던 행동에 어떤 제시를 해 준 것 같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여러 면에서 부딪치는 어려움의 연속들, 저자의 말대로 한 걸음씩 나에게 맞는 실천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