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한다고 말하고 싶었는데 스콜라 창작 그림책 82
장프랑수아 세네샬 지음, 오카다 치아키 그림, 박재연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돌로 지어진 문이 굳게 닫혀 있습니다. 문 바로 앞 마당에 있는 돌로 만들어진 탁자에 앉아 깃털 펜으로 편지를 쓰고 있는 작은 여우가 있습니다. 작은 여우가 할머니에게 편지를 쓰고 있자니 해님이 점차 모습을 감추고, 숲이 고요해졌습니다. 새들조차 지저귀지 않았습니다. 작은 여우는 할머니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얼마 전 할머니 집에 갔을 때처럼 편지에 뭐라고 써야 할지 아무런 생각이 나지 않았습니다. 침대에 누워 자고 있던   할머니는 너무 지쳐 보였습니다. 작은 여우는 할머니 곁에 앉아 할머니를 바라만 볼 뿐 아무 말도 할 수 없었습니다. 아무 말도요. 침대에 누워 있는 할머니는 작은 여우네 할머니 같지 않았습니다. 너무 작고, 너무 연약해 보여 작은 여우는 그런 할머니의 모습이 낯설고 어색했습니다. 하지만 방 안 가득한 따스한 할머니 냄새와 집안에 곳곳에 있는 할머니의 물건들은 그대로였습니다. 




작은 여우는  문득 할머니와의 추억이 밀려왔습니다. 푸르름이 아늑한 숲속 할머니네 집 앞 탁자에서 작은 여우는 할머니와 함께 정말 멋진 작품을 만들곤 했습니다. 커다란 상자에 든 할머니의 소중한 보물로 세상에 하나뿐인 인형도 만들었었습니다. 함께 세상 꼭대기까지 올라가 보기도 했습니다. 할머니와 함께 한 멋진 순간들이 아름답게 영화처럼 흘러갔습니다. 할머니 집에 다녀온 엄마가 할머니는 멀리 떠나서 이제 다시 돌아올 수 없다고 말해주었습니다. 이 말을 믿을 수 없었던 작은 여우는 할머니와 함께 했던 장소들로 할머니를 찾아다닙니다. 작은 여우는 할머니와의 이별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사랑한다고 말하고 싶었는데>는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을 겪게 된 어린아이의 마음을 아름답고 우아하게 담아낸 그림책입니다. 누구나 원치 않는 이별을 경험하며 살아가게 되지만, 어리고 여린 마음에 이별은 더 어렵고 버거운 일일 것입니다. 작은 여우가 할머니를 추억하며 이별을 자연의 순리로 깨달아가는 모습을 보며 따뜻한 위로를 받았습니다. 연필로 풍부한 음영을 촘촘하게 쌓고 다양한 빛깔의 유성 색연필로 부드럽게 덧칠해 그려진 포근한 그림이 잔잔하면서도 강한 인상을 줍니다. 



위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속지 마세요 Don’t be Fooled!
자이언제이(Zion.J) 지음 / 샘터사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이란, 주어진 예측 불허한 바람과 색을 나만의 특별함으로 만들어가는 여행이야. 안녕, 내 이름은 퓨니(Puny)야. 단발머리에 파란 드레스를 입은 소녀가 말을 걸어옵니다. 이 작고 연약한 퓨니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봅니다. 퓨니는 푸른색을 가진 엄마 아빠를 닮아 푸른색을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사람들은 아이의 푸른색을 짙고 어두운 바다처럼 여기고 불쌍하다 말하곤 했습니다. 퓨니가 어릴 적 아빠가 강한 바람이 불어 깊고 어두운 바닷속으로 떠났기 때문입니다. 아빠를 잃은 가족은 벼랑 끝으로 내몰렸습니다. 강한 바람에 절벽으로 떨어졌지만 더 이상 떨어져 내려가지 않으려고 많은 나뭇가지들을 부지런히 엮어야 했습니다. 어린 퓨니와 엄마가 나뭇가지를 붙잡고 힘겹게 살아가는 모습이 안쓰럽습니다. 아무리 애를 써도  퓨니와 엄마는 조금 천천히 내려갈 뿐 절벽에서 바다로 향하고 있었습니다. 절벽 저 넘어 땅 위에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있는 사람들이 퓨니는 그저 부러웠습니다. '나도 저렇게 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데 퓨니에게 또 불운한 강한 바람이 덮치고 맙니다. 엄마가 크게 다쳐서 휠체어 신세를 지게 된 것입니다. 퓨니는 아슬아슬한 절벽에서 작고 여린 몸으로 엄마가 바닷속으로 굴러 내려가지 않게 막으며 살아가야 했습니다. 퓨니와 엄마는 많은 눈물을 흘렸습니다. 그렇지만 엄마의 큰 바퀴는 너무 무거웠고 이들을 더 빠르게 바다 가까이로 몰아가고 있었습니다. 지치고 절망스러운 작고 여린 퓨니의 삶은 어떻게 될까요? <속지 마세요 Don’t Be Fooled!>는 패션 아티스트이자 아트 디렉터, 화가로 활동하는 자이언제이(Zion.J)가 자신의 유년 시절 이야기를 담아 만든 첫 그림책입니다. 간결한 라인 드로잉과 손글씨로 전하는 이야기는 보는 이에게 따뜻한 위로와 응원의 메세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속지 마!
너는 정말 멋지고 특별한 색을 가지고 있어. 넌 정말 아름다워!”



위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내기하는 날 책고래마을 50
박지윤 지음, 남성훈 그림 / 책고래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기계가 대신 해서 보기 힘들지만 어릴적에 시골 논에서는 사람들이 일렬로 줄을 맞추어 모내기를 했었습니다. <모내기하는 날>의 표지 그림을 보니 옛 추억이 떠오르며 마음이 따뜻해집니다. 오늘은 산골짜기 다랑이 논에 모내기를 하는 날이어서 민우네 가족은 아침 일찍 할머니 댁에 도착했습니다. 모내기하는 날은 일손이 부족한 농촌 마을에 도시에 사는 가족들이 모이는 날이기도 했습니다. 낮은 돌담으로 둘러싸인 낡은 농가 주택과 할머니, 살랑살랑 꼬리를 흔드는 진돌이의 모습이 정겹습니다. 색연필로 세밀하게 그려낸 그림에 마음을 빼앗겨 한참을 보게 됩니다. 할아버지가 모시는 경운기와 민우는 사촌 성우와 신이 나서 올라탑니다. 아이들에게 모내기하는 날은 노동이 아닌 재미있고 신기한 체험학습 날일 것입니다. 탈탈 탈탈, 덜커덩덜커덩 엉덩이가 얼얼해지며 논에 도착했습니다. 


어른들은 서둘러 모찌기(못자리에서 모를 뽑는 것)를 시작합니다. 민우는 처음 듣는 모내기 용어들을 아빠에게 물어 배웁니다. 그리고 민우와 성우도 주황색 가슴장화를 신고 논에 뛰어들었습니다. 할아버지에게 모심는 방법을 배우는 아이들은 제법 진지한 모습으로 유심히 할아버지의 손을 보았습니다. 논은 질퍽했습니다. 푸욱푸욱, 꾸룩꾸룩 발을 옮길 때마다 가슴장화가 진흙 속에서 소리를 냈습니다. 빙그르르, 폴짝폴짝 물방개와 개구리도 신이 났나 봅니다. 옛날엔 댜늘 맨발로 모를 심었다는 고모의 말에 민우와 성우는 가슴장화를 벗고 바지를  돌돌 말아 걷어 올렸습니다. 민우는 첫 모내기를 무사히 마칠 수 있을까요?  우리의 정겨운 옛 모습을 볼 수 있는 그림책 <모내기하는 날>입니다. 북적북적 가족들이 모두 모여 땀 흘리며 힘을 모아 일하고, 꿀맛같은 새참을 먹으며 왁자지껄 웃음꽃이 피던 시절의 이야기가 참 정겹습니다. 아이와 함께보며 옛이야기를 들려주면 좋겠습니다. 




위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돌아온 주먹이
이영경 지음 / 다그림책(키다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날 어느 마을에 아주 작은 아이가 오이꽃 속에서 태어났습니다. 노란 오이꽃에서 태어난 초록색 아이는 주먹만큼만 크고는 더 자라지 않아서 주먹이라고 불렀습니다. 주먹이의 생일날, 아빠는 지붕에 용 그림을 그렸습니다. 하늘에 떠있는 용 그림에 동그랗고 동그랗고 동그랗게 여의주도 올렸습니다. 왜냐면 엄마 아빠에게 주먹이는 용의 구슬만큼 멋졌기 때문입니다. 주먹이는 엄마 아빠의 사랑을 받으며 행복하게 살고 있었습니다. 엄마는 오이를 많이 가꾸었습니다. 집에는 오이 덩굴이 가득했고 장독대에는 오이지가 잔뜩 있었습니다. 주먹이는 오이 꽂을 들고 오이가 담긴 소쿠리에서 놀았고 엄마는 그 모습을 사랑스럽게 바라보았습니다. 빨간 고깔모자를 쓴 길고양이 모냥이는 주먹이네 오이를 매우 좋아했습니다. 엄마는 모냥이에게 오이씨를 발라 주고, 빨간 모자도 씌워 주었습니다. 하루는 아빠가 주먹이를 데리고 낚시를 갔습니다. 아빠가 가제를 잡는 동안 주먹이는 도토리를 친구 삼아 놀고 있는데 잉어 씨가 다가왔습니다. "안녕? 멋진 아이. 그 동그란 걸 내게 주면 안 될까? 그러면 내 배 속 구경을 시켜 줄 텐데." 그러더니 잉어 씨는 주먹이를 꿀꺽 삼켜버렸습니다. 


잉어 씨의 배 속은 미끈미끈 미끄덩, 물속도 아니고 하늘  위도 아닌데 이상하고 신기했습니다. "아빠, 나 좀 꺼내 주세요!" 주먹이는 큰 소리를 쳤고 다행히 잉어 씨를 낚은 낚시꾼이 이 소리를 듣고 주먹이를 꺼내주었습니다. 주먹이는 어느새 토끼풀 따 물고 니나니나니나 놀고 있었는데 그만 이번에는 풀을 뜯어 먹고 있던 황소에게 잡아먹히고 맙니다. 다행히 소똥과 함께 무사히 나올 수 있었지만 집으로 가는 길을 잃어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때, 똥파리가 날아와 주먹이 곁을 맴돌았습니다. 주먹이는 똥파리와 친구가 되어 함께 집을 찾아 나서게 됩니다. 주먹이는 무사히 집에 돌아갈 수 있을까요? <돌아온 주먹이>는 <주먹만 한 아이>라는 옛이야기를 듣고 저자가 다시 새롭게 지은 이야기로 만든 그림책입니다. 꼬리에 꼬리를 물며 이어지는 신기한 사건들이 흥미롭게 펼쳐지는 재미있는 이야기입니다. 주먹만하지만 누구와도 금세 친구가 되고 당차게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초록색 주먹이가 참 귀엽습니다. 아이와 함께 읽으며 주먹이의 모험에 동참해 보면 좋겠습니다. 



위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또 말도 안 되는 이야기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145
안효림 지음 / 길벗어린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속에서 아기 하마가 얼굴을 빼꼼 내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기 하마의 머리와 팔 위에는 작은 애벌레 친구들이 올라타 있습니다. 하마와 애벌레가 무슨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들려줄지 궁금해하며 책장을 넘겼습니다. 아기 하마가 물 위에 둥둥 떠서 나뭇잎을 열심히 먹고 있는 애벌레들에게 볼멘소리를 하고 있습니다. "엄마가 나보고 풀을 먹으래. 풀은 정말 맛없는데!" 풀 먹기 싫다고 투정 부리는 모습이 아이들의 모습과 비슷합니다. 그러자 애벌레들은 저마다의 대답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맛없다니 다행이다. 아삭아삭 쫀득쫀득 맛있는 풀! 네가 먹으면 맛난 풀이 다 사라질걸. 우리, 배고파!" 귀여운 애벌레들의 말들이 재미있어 웃음이 나옵니다. 


엄마 하마는 엄청 커다란 풀을 먹으면 엄마처럼 쑥쑥 큰다며 풀 찾는 법을 아기 하마에게 매일 말해주었습니다. 아기 하마는 이런 이야기를 매일 듣다 보니 싫은데도 자꾸 생각이 난다며 물속에서 발버둥을 쳤습니다. 그 바람에 나뭇잎 위에 있던 애벌레들은 아기 하마의 말랑한 배 위로 떨어졌습니다. 물장구를 너무 쳐서 힘이 빠져버린 아기 하마는 물 위에서 스르륵 잠이 들고 서서히 물속으로 가라앉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너무 배가 고파진 아기 하마는 엄마가 말해준 커다란 풀을 찾으러 애벌레 친구들과 물을 나와 길을 나서게 됩니다. 과연 아기 하마는 엄마가 알려준 방법대로 커다란 풀을 찾아 맛있게 먹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엄마는 또 어떤 또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아기 하마에게 하는 걸까요? <또 말도 안 되는 이야기>는 귀엽고 사랑스러운 아기 하마와 애벌레들의 새로운 도전을 보여줍니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고 생각했지만 사실은 자신을 사랑해서 하는 말임을 아기 하마는 알게 될까요? 아오와 함께 재미있게 보면 좋을 그림책 <또 말도 안 되는 이야기>입니다. 



위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