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보는 세상 1 - 나의 우주 숫자로 보는 세상 시리즈 1
조대연 글, 강무선 그림, 고의관 감수 / 녹색문고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숫자로 세상을 이해하며 본다는것...참 새로운것 같다.

 

지구와 태양계와 우주오의 관계를 숫자로 설명하는 것이 어디 쉬운 일인가 말이다.

 

지구과학이나 우주쪽은 나의 관심밖분야였다.

지금도 역시 책을 읽으면서도 이해 안되는 부분이 80%이상이다.

어린이책을 읽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지구의 지름은 10의 7제곱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은 10의 8제곱

태양의 지름은 10의 9제곱보다 조금 작다.

태양의 지름에 10을 거듭해서 네번 곱하고, 거기에 다시 3을 곱한 3*10의 13제곱미터가 태양계의 크기.

은하계의 크기는 10의 21제곱미터

가장 먼 별까지의 거리는 약 10의 26제곱미터!!!

라는데....상상되 안되는 거리다.

 

이책의 첫 장에 나오는 우주에서 거리를 재는 방법에서부터 나는 기가 죽었다.

 


 


 

우주의 크기를 보는 4가지 방법이라고 나와 있다.

우와 이렇게 보니 그 크기의 비례를 짐작은 할수 있겠다.


하나.지구의 크기를 지름 10센티미터의 사과만 하게 축소하면,

둘, 태양의 크기를 지름 10센티미터의 사과만 하게 축소하면,

셋. 태양계의 크기를 지름 10센티미터의 사과만 하게 축소하면,

넷 우리 은하계를 지름 10센티미터의 사과만 하게 축소하면,

 

그 크기를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하겠지만, 이렇게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이들도 아마 이해하기가 쉬울것 같다.


별의 색은 그 별의 온도를 나타내고,

별이 무거울수록 중력이 강해져서 온도가 높다고 한다.

아~~놀라운 우주여~~!!



더 크면, 더 무거우면, 더 밝은 별~~

참 신기하다.

별은 무게가 무거울수록 더 밝다는 그래프이다.

 

이책에서 내가 제일로 신기했고, 제대로 알게 된것은 블랙홀에 대한 이야기이다.

다른건 둘째 치고라도,

블랙홀에 들어갈땐 끝없이 둘로 나뉘어져 형태도 알아볼수 없다는데,

그 블랙홀에 빠진 이후는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해 졌다.

블랙홀은 태양보다 10배쯤 무거운 별이 죽으면 생긴다는데....

그 큰별이 블랙호이 되고 나면 크기가 30킬로미터로 쭈그러 든다니...

 

정말 신!비!롭!다!!!

 

우주의 신비가 궁금하면서도 어렵다고만 생각하는 고학년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