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산 도로랑 힘찬문고 52
임정자 지음, 홍선주 그림 / 우리교육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은 좋은 책들이 참 많이 나온다.

그림도 예전보다 더 많이 신경쓰고, 책의 질감도 좋아지고 있다.
 
흰산 도로랑 책은,
내가 표지를 보자마자 나를 사로 잡는 책이었다.
표지의 백호 모습에서 위엄을 느낄 수 있었고,
백호의 눈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느낌이었다.
이 호랑이의 이름이 도로랑이고, 흰산은 호랑이가 사는 산의 이름일까...상상하며 책을 펼쳤다.
 
맨 뒷페이지의 작가의 말을 빌자면,
몇년전 백두산 천지에 간적이 있는데,
[임서재구전설화집-평안북도편 2]에 실린 '아버지 잡아먹은 호랑이 잡은 아들'을 읽고 연결하여 초고를 쓰고 1년이 지난 어느날 다시 글을 썼다고 했다.
어떤 면이 이리도 작가를 끌어당겼을까...
자뭇 진지한 마음으로 책을 읽어 나갔다.
 
사실, 책이라는 것이,
사람을 끌어당기자 치면 다른 일에 손을 모두 놓게 만들거나,
다시는 가까이 하고 싶지 않게 하는 두가지의 경우가 있는데,
이책은 전자에 속하는것 같다. 적어도 나에게는...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로 흰산의 주인은 백호인데,
도로랑의 아버지는 돈을 벌고자 백호를 잡으러 산에 들어 갔다가,
흰산의 거둠을 받았다.
남겨진 도로랑과 도로랑의 어머니는 동네에서 놀림감이 되었던 것....
도로랑은 아버지의 원수를 갚겠다고 흰산에 들어가게 되고....
결국 어둠왕을 예기치 못한채 깨웠다가,
자신의 눈과 심장을 바치고 어둠왕을 물리치고,
다시 어머니에게 돌아와 자신의 삶을 사는 이야기로 전개 된다.
 
여기서 내가 제일로 맘이 안좋았던 부분은
도로랑의 아버지 백포수가 마구잡이로 산속의 질서를 어지럽히고,
정말 씨를 말릴 정도로 사냥을 해댄데 대해 자연의 되갚음을 받은게 아닌가..싶다.
요즘들어 참 많이 생각케 하는 부분이다.
예전엔 이렇게 사냥으로 자연을 훼손했다치면,
요즘엔 죄없는 동물들을 사람보기 좋으라고 가둬두거나,
인간에게 필요한 자원을 구한다는 명목으로 생태계를 마구 파괴하고 있지 않은가..
 
너무 크게 생각한지는 모르지만 내 머릿속 생각이 떠나질 않는다...
 
표지에 대하여..
우리 아이들은 표지의 호랑이 눈이 새 두마리로 보인다고 했다.
전체로 보니 호랑이 눈같지만 눈만 따로 보면 새같다고..
정말 보니 그렇다.
 
이책의 묘미는 삽화와 표지도 한몫을 단단히 하고 있지 않나...싶다.
 
새로운 옛이야기로의 길로 들어섬에 기쁜마음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