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선 - 진경산수화를 완성한 화가 ㅣ 어린이미술관 7
박은순 지음 / 나무숲 / 2002년 11월
평점 :
우리는 흔히, 맞다 흔히...
외국의 거장들의 전시회를 잘 보러간다.
심지어는 자기가 사는 도시에서 열리지 않더라도,
그 전시회를 보기 위해 가곤한다.
그러면서 진정 우리의 화가를 돌아볼 생각을 안하곤 한다.
전시회에 든 관람객의 수치가 그걸 증명하는 것 같다.
나역시 이번이 아니면 못볼것처럼,
큰 전시회가 있으면 가능한한 가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도서출판 나무숲의 어린이 미술관 시리즈는 우리의 것들을 다시금 보게 한다.
이제껏 알지 못했지만 위대한 예술가들의 혼을 볼수 있다.
더 자세히 볼수도 있겠지만,
아이들의 눈에도 어렵지 않게 이야기하고 있다.
그래서 나는 이 시리즈가 참 좋다.
나는 그림을 잘 모른다.
남들의 이야기를 들을줄은 안다.
그래서 이책의 이야기를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처럼 읽었다.
정선은 직업화각가 아니라 선비화가였다.
<독서여가도>에서 정선의 모습을 엿볼수 있다.
여유를 즐기며 화분을 바라보는 선비의 모습에서 정선의 이미지를 떠올릴수 있었다.
정선은 풍경화를 그리곤 했는데, 그의 그림의 붓터치를 보면,
한번쯤 따라 그리고 싶은 생각이 든다.
나는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해서, 따라 그리기는 겨우 할수 있으니까....
<청풍계도>는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었다고 하니..
다음번 서울방문땐 원본을 보고 싶은 욕심이 생길만큼,
상세하고, 깊이가 있는 그림으로 느껴진다.
특히 인상적인 내용은 정선이 쓰다 버린 붓을 모으면 커다란 무덤을 이룬다는 것이다. 자신이 하는 일에 그만큼 열심이어서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
정선하면 생각나는 그림이 아마도<인왕제색도>가 아닐까?
지금의 인황산의 모습과 크게 다를바가 없었다.
1751년 작품인데, 250년도 더 지난 지금 보아도,
그의 대단한 관찰력과 그림에의 애정을 엿볼수 있는것 같다.
책 뒤쪽의 부록에서 설명된
정선의 표현 방법들을 잘 보고 ,
아이들과 홈스쿨링을 대신해서 한번 따라그려보기를 해볼까...한다.
오늘도 가슴이 부풀어 오른다.
좋은 책, 좋은 그림이 내 마음속 가득해서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