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본 백석 시집
백석 지음, 고형진 엮음 / 문학동네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새우에다 무우를 듬성듬성 빚어넣어 고추가루 한 숟갈, 마늘 조금 넣고 끓이니 

허기진 속이라 그런지 자꾸 입안에 침이 고인다. 하얀 밥 수북히 퍼서 발그스름한 

새우국에 밥을 말아먹으며 아들에게 한마디 툭 던진다. 

  "이 국 이름이 함경도 사투리로 뭔지 아나?"  

 "글쎄요... 잘 모르겠는데..." 

엄마가 이런 걸 왜 묻는지 의아해 하는 아들에게 느닷없이 시 한편을 읽어준다.  

 

                              여우난곬족 

                                                         백     석 

         .................         중략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츰
          시누이 동세들이 육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틈으로 장지문틈으로 
          무이징게 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아들아, 지금 니가 먹고있는 국이 바로 이 시속에 나오는 무이징게 국이란다." 

"어... 진짜예요 ?"  

 

아들은 대부분의 남자아이들이 그렇듯이 시를 어려워 한다. 마음으로 감성으로 시를 읽어야 하나 

시를 분석하고 따지는데 익숙해져 있다보니... 문학 중에서도 특히 시를 어려워 한다. 

시라는게 그렇다. 공부로 시작하면 더없이 어렵고 따분한 것이다. 그러나 시를 실생활과 연결 

해서 읽어보면 그 재미가 솔솔하다.  

'무이징게국'이라는 국 한 그릇으로 백석이라는 시인이 누구인지... 그가 시 속에서 

표현했던 나타샤가 누구인지.. 또 그 나타샤가 얼마전 작고하신 법정스님과 어떤 인연이 

있는지 등 등 얽힌 이야기가 무이징게국 구수한 냄새처럼 술술 풀어진다. 

  시 한편으로, 무이징게국 한 그릇으로 참 행복해지는 저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미제국의 발견 - 소설보다 재미있는 개미사회 이야기
최재천 지음 / 사이언스북스 / 1999년 1월
평점 :
품절


 

  아들녀석이 그야말로 개미 광팬이다. 7,8세쯤 어릴 적 부터 놀이터에 놀러나가서는 정작  

놀지는 않고 쭈그리고 앉아 늘 개미구멍을 들여다보고 후벼파고 했었다.  

그러다 보니 한여름에는 무릎뒤쪽 오금자리에는 늘 땀띠투성이었다. 아예 어느날부터는 

A4용지나 스케치북에 개미굴을 그려댔다. 식량창고, 여왕개미방, 개미알방, 육아방, 

병정개미쉼터 등....  작은 종이에 개미새끼만 여러 수백마리를 빽빽하게 그려놓았다. 

  예나 지금이나 똑똑치 못한 엄마라 나는 하루 왼종일 책상앞에 앉아 개미만 그려대는 아이가 

내심 못마땅했다. 친구들과 땀을 뻘뻘 흘리며 뛰어놀았으면.. 학교공부에 좀더 신경썼으면... 

하는게 나의 바램이었으니까 말이다.  

아이의 개미사랑은 중2가 된 지금까지도 이어진다. 이제 아예 나도 도서관에서 개미에 관한  

책이 있으면 빌려다 줄 정도로 아이의 개미 사랑에 두 손을 들고 말았다. 

이 책도 그러한 과정에서 동네 작은 도서관에서 발견하였고 아이와 함께 읽은 책이다.  

가장 특이한 점은 "잎꾼개미"였다. 아이도 이런 개미이야기는 처음인지 몹시 흥분하였다. 

잎꾼개미는 나뭇잎을 끌고가 그것을 숙주로 버섯을 재배하여 먹는 다는 개미이다. 저자 

최재천 박사는 잎꾼개미가 지구상 가장 먼저 농경을 시작한 생물이라 언급한다. 

 

한가지 바람이 있다면 개정판이 나올 때 글자를 조금 크게 인쇄해줬으면 좋겠다.. 

 요즘엔 초등학생들도 전문적인 내용을 다룬 책들을 많이 보고 있으니 말이다. 

조금 작은 글짜크기로 인해  어른인 나도 눈이 불편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국 정원 산책 - 가든 디자이너 오경아의
오경아 지음, 임종기 사진 / 디자인하우스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왜 유독 영국에서 정원이 발달했을까  

18세기 영국 산업혁명이 발생, 급격하게 신흥산업세력이 생겨났다. 새롭게 등장한  

이 사회계층에는 기성귀족과 차별화된 이념과 가치가 필요해졌다.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절대권력과 엄격함을 배경으로 하는 기존 왕족과 귀족에 

대항할 수 있는 이념과 가치는 바로 '자유로움'이었다. 

이 자유로움이 가장 먼저 도입된 곳이 바로 정원이고 이것이 바로 영국식 자연주의 

정원의 등장 배경이다" 

 "정원은 정원사의 손 만으로 이뤄지진 않는다. 마지막 완성은 시간이다. 정원은 인간이 

만들었지만 이런 시간의 흐름속에 점점 우리 것이 아닌 시간의 것이 되어간다." 

                                 ------------ 본문 중에서 --------------------------------  

  영국의 유명한 정원들에 대해 사진을 곁들여 저자의 생각들을 잔잔히 풀어낸 책이다. 

채소정원, 풍경식 정원, 암석정원 등.... 정원도 다른 예술작품처럼  주인의 철학과 감성이  

물씬 풍김을 새삼 깨닫는다. 몇 세대를 거치면서 완성된 정원들을 마주하면서 선조들이 

소중하게 여겼던 가치를 함부로 다루지 않고 이어나가려 애쓰는 수많은 자손 정원사들에게 

경의감 마저 든다. 

 

  몇 년째 베란다 정원을 가꾸고 있다. 꽃이 피지 않아 애를 태우던 풍란이 몇 년만에 하이얀 

꽃을 피우던 날 .. 그 환희, 가슴벅참,... 그리고 동네방네 자랑하고 싶은 마음... 이 모든 것들이 

바로 식물이 내게 주는 즐거움이 아닐까 싶다. 

  요즘은 채소정원에 푹 빠져있다. 아이들과 베란다정원 한켠에 상추씨를 뿌려놓고서 

틈만 나면 싹이 돋았나 들여다 보는 재미가 솔솔하다.  

내 아이들도 자연이 주는 그 소소한 즐거움을 늘 맛보고 살 수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Guinea Pig Handbook (Paperback)
Sharon Vanderlip / Barrons Educational Series Inc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기니피그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똥꽃 - 농부 전희식이 치매 어머니와 함께한 자연치유의 기록
전희식.김정임 지음 / 그물코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픈 노모를 모신다는 것.. 참 쉬운 일이 아니다. 편찮으신 시부모님이 우리집에 와서 

몇 주 계시는 동안 내 마음은  하루에도 몇 번씩 천사와 악마가 휘젓고 다녔다.  

감정노동이라는 말이 있다. 노인들은 했던 말 또 하고 했던 말 또 하고... 그 말에 일일이 

대꾸해주고 혹시 서운해 하지 않으시나 마음을 챙기는 일... 무시할 수 없는 노동이다. 

머리와 가슴이 따로 논다는 말이 꼭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잘 해드리는 것이 맞지만 

내 몸이 지치니까 짜증이 절로 나왔다.  

   

 

똥꽃은 저자가 치매걸린 노모를 모시고 시골로 내려가 생활하면서  자연치유의 방법으로 

노모를 돌본 이야기를 풀어놓은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며 노인이 어떤 행동을 보일 때는 어떤  

이유가 있었서인지 등 노인학에 대해 좀 배울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가 했던 말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이 ' 이 세상에는 아이들을 위한 동화책은  

차고 넘치는데 왜 노인들을 위한 노화는 없는가'이다. 한번도 의구심을 가져보지 못한 

부분을 저자는 콕 찝어내어 우리에게 다른 각도로 노인들을 바라보게 한다. 

읽는 내내 반성 많이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