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제를 위하여 1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1
이문열 지음 / 민음사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68.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舊51번
<황제를 위하여 1> ★★★
영화 원작 소설 아니고, <정감록>이란 우리나라 예언서에 관해 이문열이 쓴 이야기다.
새로운 왕조가 열리고, 누가 王이 된다는 식의, 진짜 예언서인가? 사이비를 가장한 속임수인가?
윤석열의 손바닥 王자를 보고 가지가지 🍆 한다며, 웃던 기억이 났다. 과학과 이성의 시대지만 우린 아직 이런 미신과 비기에 의지한다.
왕씨 500년, 이씨 500년 뒤, 정씨가 계룡산에 도읍하여 800년을 누린다는 예언. 🔮
황당한 전개, 황제라 불리는 정씨, 예언을 조작하고 불어넣는 아버지 정 처사, 흰돌마을 사람들과 일본군의 단 1번 어설픈 전투와 패배가 전반부를 이룬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황제와 군사 방량은 나라를 구하겠다며, 일본군과 대치 중에 중국 고사와 한학으로 전술을 논한다. 신의를 지키며 싸워야 해야 하므로, 지름길도 안 된다, 적이 용변 볼 때는 공격도 안 된다는 이상한 황제의 논리.
장엄한 <태조 왕건> 같은 대하 역사 드라마나 영웅 이야기를 기대했던 나의 기대를 깨트리고, 만주로 건너간 황제는 척가장의 주인을 만나 땅을 얻고, 세를 불려나간다.
작가 이문열은 (백제실록)이라 불리는 책에 기록된 하나의 시선이 아닌, 실록이 거짓이라 하는 사람들의 관점에도 공평하게 주장을 실었다.
자신에게 나라를 다시 세우라는 하늘의 뜻이라는 황제
VS
사이비 미치광이, 우연이 겹친 자의 운 좋은 남자로 보는 시각도 기술한다.
1권의 마지막 1934년, 조선 유민을 모아 만주의 척가장에서 척박한 땅을 개간하고, 식량과 무기, 200여명의 사람으로 군대를 일으킬 준비를 한다. 일본군과 맞서 싸워, 중국의 마지막 황제 부의처럼 나라를 일으킬 것인가? 아니면 땅을 일구며 편히 살 것인가? 고민한다.
예언의 실현인지, 사이비 교주인지 헷갈리게 하는 희안한 책. 척가장에는 사회주의 인물 이현웅이 음모를 꾸민다. 2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