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천재들은 어떻게 기획하고 분석할까? - 직관을 넘어 핵심을 꿰뚫는 데이터 분석의 절대 법칙
조성준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이터'가 각종 서비스의 자원으로 활용되면서, 석유, 전기, 금융자본에 비교되는 21세기 경제의 필수자본으로 부상했다는 내용은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계실 겁니다.

각종 IoT 센서 등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데이터가 산업과 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기업, 개인, 공공분야 등 각 분야의 다양한 주체들도 실시간으로 복잡하고 수많은 데이터를 발생시키면서, 동시에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데이터가 모든 산업의 발전과 새로운 가치 창출의 촉매 역할을 하는 새로운 '데이터 경제(Data Economy)' 시대가 도래했으며, 마침내 국가와 기업의 혁신 성장의 핵심 키워드가 되어, 데이터 경제 활성화에 글로벌 기업과 국가들의 관심이 그 어느때 보다 고조된 상황이라 하겠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데이터 천재들은 어떻게 기획하고 분석할까?>에서는 신자본(New Capital)으로 부상하여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꿔놓고 있는 "데이터"를 다루는데 있어, 이제 막 입문한 초보의 입장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즉, 데이터 사이의 맥락을 파악해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는지 그리고 일상 생활 속에 데이터가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는 물론 기업의 실제 사례를 소개하며 데이터 활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답니다.

프롤로그를 통해 밝히고 있는 본서의 핵심 내용과 주제는 아래의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을 듯합니다.

"데이터의 의미와 데이터를 바라보는 관점, 핵심 분석 방법인 시각화, 예측, 클러스터링, 그리고 이미지와 텍스트 데이터의 분석 방법 등은 전공과 무관하게 누구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왜냐하면 .... 기업과 공공기관에서는 이를 활용해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고 있기 때문.... 이제 빅데이터는 '알면 좋은' 대상이 아닌 '모르면 안되는' 대상이 되었다."

무엇 보다 데이터의 의미와 이러한 데이터를 바라보는 관점을 명확히 밝히고 있는 1장의 내용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를 포함한 데이터 관련 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분들이 반드시 확인해야할 기본 중의 기본이라 생각합니다.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AI, 통계, 시각화 등 '애널리틱스 도구'를 사용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끄집어 내게 됩니다. 이러한 인사이트를 가지고 '의사 결정자(엔지니어, 마케터, 투자자, 인사담당자)'는 다양한 '액션'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게 됩니다.

전통적인 숫자 데이터 뿐 아니라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텍스트 데이터와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다양한 기업 사례를 통해 '좋은 기획이 빅데이터의 가치를 결정한다'는 기획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누가 어떤 목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로 도출된 인사이트를 의사결정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등의 구체적인 기업 비즈니스 사례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의 종류와 분석 방법을 제대로 결정하는 것이 기획 단계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하게 됩니다.

책에서는 대표적인 패스트 패션 브랜드인 '자라(Zara)', 반도체 공정의 샘플검사, OTT 세계 1위인 '넷플릭스(Netflex)', '아마존(Amazon)' 그리고 '글래스도어'의 사례를 통해 묘사 분석, 예측 분석, 진단 분석, 분류/예측 분석의 실사례를 알기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총 6장으로 구성된 본서의 1장을 제외하면 나머지 5장은 '데이터 시각화 기법'을 시작으로 분류와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법(지도 학습)', '군집 분석(비지도 학습)', '이미지/동영상 분석', '텍스트 데이터 분석' 등 다소 기술적인 파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코딩 문법이나 복잡한 통계학 및 기계 학습 이론에 기초하지 않고도 데이터 분석의 프레임 워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그렇지 않아도 높은 진입 장벽을 지닌 데이터 과학의 세계로의 진입을 위한 저자분들의 배려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비전문가와 일반인을 위한 빅데이터 입문서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