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짧은 글일수록 주제는 신선해야 한다. 특히 주례사처럼 진부해지기 쉬운 스피치는 자신만의 차별화된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즉석 스피치나 건배사는 CM송 정도로 볼 수 있다. 
- P97

나는 누구의 이야기든 허투루 듣는 법이 없다. 그래서 지인들은 말하는 도중에도 내게 꼭 묻는다.
"원장님, 이거 강연할 때 써먹을 거죠?"
- P125

장작 패는 60대 할아버지를 연기한다면 옆에서 관찰하고 미세한 특징을포착해 정확히 되살린다. 이처럼 정한용 씨의 연기와 스피치의 저력은 관찰의 힘에서 나온다.
- P131

그렇게 에피소드를 들려준 다음에는 다시 처음의 논리로 돌아간다.
여기서 그냥 끝나면 ‘아줌마 수다‘일 뿐이다. 탄탄한 논리가 밑바탕이 돼야 알맹이 있고 품격 있는 에피소드가 되는 것이다.
- P134

여기서 중요한 건 에피소드와 논리의 경계를 드러내면 안 된다는 점이다. ‘부실한 예고편‘이 붙으면 그때부터 에피소드는 이미 에피소드가아니다. 신선도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감정이입을 방해한다.
"주제와 딱 맞는 가슴 아픈 이야기를 하나 들려드릴까요?"
"정말 웃긴 이야기를 지금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런 식은 곤란하다는 말이다. 상대방이 들으면서 판단하면 그만이지 내가 가진 카드를 미리 보여줄 필요는 없다. 청중이 모르게 자연스럽게 에피소드를 들려줘야 효과적이다. 
- P135

에피소드 활용법에는 기본적인 구조가 있다. 1차적으로 논리적 주장을 편 다음 청중이 모르는 새 드라마로 이끌고 드라마가 언제 끝났는지도 모르게 빠져나와서 ‘그래 맞아.‘ ‘앞으로는 그래야겠네.‘라고 결심하게 만든다. 어설프게 ‘제가 눈물 없이는 들을 수 없는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라고 하면 청중은 ‘네가 얼마나 가슴 아파하는지 한번보자‘며 팔짱을 낀다.
- P1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