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일어서는 힘 - 인생의 전환점에서 꼭 가져가야 할 한 가지
존 C. 맥스웰 지음, 김고명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랫만에 만나는 존 맥스웰의 책이다.
목사이기 이전에 한 사람의 경영 사상가로 리더십에 대한 그의 주장은 늘 나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었다.
이번 책에서는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
'한계'다.
한계가 있다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한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한계를 깨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이 책을 통해 말하고 있다.
일흔이 넘은 나이에도 왕성한 활동을 하며 자신의 한계를 깨기 위해 스스로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일단 지금의 자신이 아직 알고 있지 못하는 능력은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이는 지금까지 알고 있던 자신에 대한 나쁜 기억과 경험을 모두 잊고 시작해야 한다.
그런 기억과 경험이 스스로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나쁜 마개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스스로가 믿고 있는-결코 사실이 아닌- 것과 남들이 말하는 것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면 의외로 많은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그 능력을 조금씩 조금씩 키워야 한다.
이는 운동이나 공부와 마찬가지로 꾸준히 연습하고 노력해야 한다.
그렇다면 이전에 자신이 믿고 있던 한계를 초월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선순환은 인생을 더욱 값지게 만들어줄 것이다.

 

저자가 말하는 좋은 선택의 기준은 내가 앞으로 할 선택에 많은 도움을 줄 것 같다.
저자는 선택을 할때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3R을 말하고 있다.
- 요구 (Requirement) : 내가 해야 하는 것
- 성과 (Return) : 내가 잘하는 것
- 보상 (Reward) : 내가 좋아서 하는 것
'요구'에 해당되는 일에 대해서 '성과'가 있고 그에 따른 '보상'이 따른다면 이것이야말로 최고의 일이다.
정말 아주 절묘한 매칭이다.
지금까지 '보상'을 바라고 '성과'만 내려고 했던 것은 아니였을까 생각해 본다.
그보다 우선적으로 분명한 '요구'가 있어야 그것에 합당한 '성과'를 낼 수 있고, 응당 '보상'도 뒤따를 것이다.

 

'인생은 위험을 무릅쓰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거나 둘 중 하나다'라는 헬렌 켈러의 말이 무척 인상적이다.
위험을 회피하려고 했던 내가 부끄러워진다.
안전하고 편안한 길로만 다니면서 더 많은 것을 보고, 듣고, 경험하기를 원하는 것은 욕심이였다.
편안하게 방에서 그림으로 본 정상에서의 일출과 새벽녁 졸린 눈을 비비고 찬바람을 맞아가며 실제로 산 정상에서 바라본 일출은 분명 다르다.
위험은 피할 것이 아니라, 극복해 내야 하는 것이다.

 

곰곰히 생각해 보면 지금의 내가 생각하는 한계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높아졌다.
그만큼의 위험을 감수하고 노력하여 이전의 한계치를 극복했기 때문일 것이다.
결국 한계란 스스로의 가치를 깍아내리는 것이다.
한계를 없애는 힘을 원한다면 이 책과 함께 하면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