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단어 - 변화를 이끄는 긍정적인 사람의 한 마디
존 고든 지음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에너지 버스'는 내가 이전보다 더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변하는 동기를 부여했다.
그 책의 저자인 존 고든의 새 책이라니 너무나 반갑다.
이 책은 전작인 에너지 버스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이전 책이 개인의 긍정적인 자세를 갖는 것을 강조했다면 이번 책은 그 긍정의 힘을 조직의 리더로써 적극적으로 전파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에너지 버스와 마찬가지로 불평, 불만을 없애고 긍정적인 마인드로 리더로써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이러한 사람을 저자는 '긍정 리더'라고 부르고 있다.
어떤 조직의 리더가 아닐지라도, 가정에서, 친목 단체에서 긍정을 바탕으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내가 운행하고 잇는 에너지 버스에서는 내가 리더가 될 수 있다.

이번 책은 실제 에너지 버스와 저자의 강연을 통해 변화한 사람들의 실제 사례도 함께 제시하고 있어 더욱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누군가가 정의한 그것을 듣고 믿을 것이 아니라, 나만의 시선으로 직접 보고 긍정적으로 해석하라.
결국 내가 어떻게 믿느냐에 따라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같은 사물, 같은 행동일지라도 내가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면 모든 것이 나쁘게 보일 것이고,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면 모든 것이 좋게 보일 것이다.
결국은 내 마음에 따라 달리 보인다.
그렇다면 어떤 마음을 갖는 것이 좋겠는가?

"단순한 메시지를 듣는 것보다 직접 느낄 때 메시지에 담긴 의미는 더 강력해진다.
중요한 일 앞에서 구성원들이 수동적으로 설명만 듣는 조직문화는 곤란하다.
직접 느낄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내가 많은 생각을 하고, 반성하게 만드는 문구다.
이 책에서 내가 리더로써 팀원들에게 직접 느끼게 해주기 보다는 말로만 이야기하지 않았는가란 생각이 들었다.
귀찮아서, 시간이 없어서 직접 느끼게 해주지 못했기에 오히려 더 많은 시간을 뺏기고, 더 귀찮은 회의가 많아진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본다.

모든 것을 긍정적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보다 더 많은 것을 긍정적으로 볼 수는 있을 것 같다.
그것이야말로 내 인생을 부정보다는 긍정으로 더 많이 채울 수 있는 방법이고, 훗날 돌이켜 봤을 때 나쁜 일보다는 좋은 일을 더 많이 떠올리게 될 것이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의 제목을 책상 앞에 붙여 둘 생각이다.
"환경이 '나'를 정의하게 두지마라."
나만의 시선으로, 내가 환경을 정의할 것이다.
누군가의 말이나 생각이 아닌, 나만의 긍정적인 생각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