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틸의 벤처 학교 - 20세 이하, 20명의 천재들, 1억 원의 창업자금. 실리콘밸리의 미래를 만들다
알렉산드라 울프 지음, 신혜원 옮김 / 처음북스 / 2017년 10월
평점 :
절판


 

피터 틸.
전자결제 시스템 회사인 페이팔을 창업하고, 그 후 페이스북, 링크드인등 유명한-이라 쓰고, 성공한이라 해석한다- 회사에 투자하여 성공한 사람이다.
그가 직접 쓴 '제로 투 원'은 스타트업을 창업하고자 하는, 혹은 창업한 사람들에게는 창업 가이드와 같은 역할을 할 정도이다.
내가 이 책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 또한 '피터 틸'이라는 이름 때문이다.

피터 틸은 스타트업으로 성공한 인물답게 보다 진취적인, 진보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있다.
현 교육시스템에서 대학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기에 대학에 다니기 보다는 보다 어릴 때 많은 경험을 하는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단지 사회생활을 빨리 하라는 것이 아니라, 아직 정형화되고 고착화되기 전의 유연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젊은 나이에 그들이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를 비즈니스화 하기를 추천한다.
당연히 그 방법은 스타트업이다.
그는 단지 말로만 그런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이러한 생각을 직접 행동으로 옮겼다.
전국에 이러한 자신의 마인드에 동감하고, 따를 수 있는 젊은이들에게 그 기회를 준 것이다.
그것이 바로 피터 필의 펠로워십이다.
자격 조건은 20세 이하이고, 대학 교육을 받지 않았으며, 확실한 창업 아이디어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였다.
전국의 수많은 청춘들이 지원했고, 그 중 20명을 선발하여 창업자금으로 1억원을 지급하였다.
이 책은 그들의 이야기이다.

그들이 펠로워십에 왜 도전했는지, 펠로워십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를 간접적으로 느끼게 해준다.
제로 투 원이 피터 틸의 이야기와 생각만을 보여주고 있다면, 이 책은 피터 틸이 강조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그것을 따르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혹은 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알게 해 준다.
가장 핫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실리콘밸리의 민낯도 볼 수 있는 것은 덤이다.
개인적으로 내가 생각하고 그렸던 이미자와는 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미국문화, 특히 실리콘 문화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나에게 이 책은 상당히 색다른 느낌으로 다가왔다.
솔직히 언급하자면 책에서 언급하는 문화나 사물들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모두 이해하지는 못하였다.
다만 맥락상으로 이러할 것이다라고 짐작할 뿐이다.
분명한 것은 한때 미국이 아메리카 드림이라 불리운 이면에는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얼마나 수많은 차별을 극복하고 노력하였는지가 숨겨져 있던 것처럼, 실리콘 밸리의 드림 또한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화려한 성공 뒤에 감춰진 그들의 노력과 수고를 알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