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를 써야 할 때 감정을 쓰지 마라 - 인생 쿨하게 살고 싶은 당신에게
차이웨이 지음, 정유희 옮김 / 유노북스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인간은 이성적인 동물이다.
그것이 '인간'과 '동물'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그때그때 생기는 감정대로만 행동한다면 동물과 다를 바 없다.
저자는 이런 감정으로 인한 행동의 결과-심적이든, 물적이든-에 대한 책임은 바로 자신에게 있음을 말하고 있다.

글의 대부분의 논조가 여자의 입장을 잘 헤아리고 있는 것 같다.
아마 저자가 여자이기에 더욱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

이런 감정의 소모가 가장 큰 것이 사랑일까?
책의 상당수의 내용이 사랑에 대한 글이다.
사랑은 갈구하는 것이 아니라고, 백마 탄 왕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극히 현실적인 내용들을 말하고 있지만, 너무 현실적이여서 무미건조하게 느껴지기조차 하다.
'꿈'을 이야기하고 상상할 수 있는 나이의 청춘들에게는 조금은 잔혹하게 보이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물론,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틀리다고 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대부분의 내용이 맞는 내용이지만 현실만 얘기할 것이 아니라 그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방법도 함께 이야기하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다.
그 방법도 이야기하고 있지만 현실을 냉정하게 이야기하는 것에 비해 추상적이고 이상적으로 보이기까지 하는 것은 상당히 아쉬운 대목이다.

지극히 '감성'적인 사랑에 왜 그와 정반대인 '이성'을 접목했을까?
감정으로 충만한 사랑때문에 너무나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너무도 많이 봐서일까?
아니면 사랑도 비즈니스처럼 조건을 찾는 이성적인 판단으로 해야 한다는 것일까?
아쉽다..많이 아쉽다.

여자이기에 현실에서의 벽은 더 높아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 벽을 뛰어넘은 사람들은 존재하고 그들의 성공요인을 찾아 함께 보여주었다면 좋았을 것이다.
단지 저자의 생각과 주장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런 생각과 주장을 했는지에 대한 현실적인 사례를 함께 제공하였다면 더욱 설득력이 있었을 것이다.

후반부의 일과 인생에 대한 내용에서는 충분히 함께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았다.
특히, '진정으로 변화를 원한다면 당장 시작부터 하라'라는 마지막 에필로그는 감정과 이성의 여부를 떠나 많은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권유하고 싶은 내용이다.
머리가 아닌, 몸으로 변화를 원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