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프라우
질 알렉산더 에스바움 지음, 박현주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제목인 하우스프라우는 독일어로 '가정주부'란 뜻이다.
미국 태생인 '안나'는 스위스인 남편을 만나 스위스에서 살고 있다.
세 명의 아이들을 낳고 능력있는 남편과 함께 살고 있기에 남들이 보기에 부러울 것 없어 보이는 그녀이지만 실은 엄청난 고독과 슬픔에 쌓여있다.
고독이라는 것이 딱히 명확한 이유가 없는 것이기에 정신치료를 받던 그녀는 보다 더 적극적인 자신의 삶을 살기 위해 학원 등록을 권유받는다.
스위스는 독일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기에 보다 더 나은 언어를 구사하고 현재 생활에 집중하고자 독일어 학원에 다니게 된 그녀는 그곳에서 다른 남자를 만나게 된다.
그 불륜은 고루한 그녀의 일상에 새로움이라는 변화는 주었지만 그것이 그녀를 바꿔놓지는 못했다.
그저 단순하고 무료한 일상의 일탈일 뿐...
그런 일탈은 동물원에서의 과감한 키스로 자신의 아이에게도 보이고, 자신의 아이가 교통사고로 죽는 순간에도 불륜을 즐기고 있었다.
마지막에 낳은 아이는 남편의 아이가 아닌 다른 남자의 아이였고, 이는 남편으로부터 이별을 통보받는 결정적인 이유가 된다.
자신의 아이를 잃고, 남편에게도 버림받은 안나는 결국 남편과 처음으로 싸운 플랫폼에서 최후의 순간을 맞는다.

이 책의 소개를 보면 대담한 성 묘사, 안나 카레리나, 보바리 부인과 같은 단어를 접하게 된다.
나의 문학적 소양이 부족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솔직히 조금 과한 표현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한다.
소재나 내용의 전개는 현대판 안나 카레니나라고 볼 수는 있겠지만 그 표현이나 작품으로써는 조금 과한 소개가 아니였나라는 생각이 든다.

현대판 안나 카레니나라고 평가한 한 언론의 평을 보고 이 책을 보게 되었지만, 개인적으로는 '안나'라는 주인공의 이름만 같은 뿐 그 내용이나 작품의 질에 있어서는 고전을 뛰어넘지는 못하는 것 같다.
어쩌면 그 언론의 힘을 통한 마케팅으로 나와 같은 독자가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도 든다.
'성'을 다루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문학적 가치를 낮게 평가받을 이유는 없지만, '성'을 다루는 제대로 된 '문학'을 만나기란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을 이 책을 보면서 느꼈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을 보면서 오히려 안나 카레니나에 대해 더 많은, 그리고 더 높은 평가를 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