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권위 - 새로운 시대, 모두가 기다리는 진짜 리더가 되는 법
조너선 레이먼드 지음, 서유라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누구나 '좋은 리더'가 되기를 원한다.
그러나 팔로워들일 볼 때 대부분은 좋은 리더가 아니다.
왜 그럴까?
단지 입장 차이로 인한 부작용일까?
좋은 리더가 되고자 했던 사람도 처음부터 리더가 아니였을텐데...

리더의 생각, 행동에 대한 책들이 많지만 이 책은 달랐다.
저자 스스로의 경험과 수많은 컨설팅을 통해 '이 시대'가 원하는, 그리고 되어야 하는 리더상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자, 주제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배우고 익혀온 리더상은 산업시대 이후의 조직에서의 성공과 실패의 경험에서 이뤄낸 것들이다.
그렇지만 지금의 시대는 산업시대가 아니다.
이것이 왜 배운대로 행동하는 리더가 실패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일 것이다.
올바른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지금의 시대가 원하는 리더상을 먼저 파악하는 우선일 것이다.
이미 흘러가 버린 강물처럼 리더상도 그러한 것이다.

저자는 지금의 시대가 이전과는 분명 다른 시대임을 먼저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가 원하는 리더는 이전과는 다른 마인드, 다른 행동을 하여야 한다.

크게 3부로 나누어진 이 책은
- 좋은 리더가 되기 위해서 갖춰야 할 자질이나 소양
- 팔로워들에게 함께 성장하기 위해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지
- 좋은 리더가 되기 위해 취해야 할 것들을 소개하고 있다.

당신은 '권위적인 리더'인가, '권위있는 리더'인가?
이 책을 읽는 동안 내내 나 자신에게 물었던 질문이다.
권위있는 리더라 생각했지만 권위를 내세우고 무소불위의 권력처럼 휘두르지는 않았는지 반성해본다.

마지막 장에 있는 리더의 형태와 직원의 형태는 나 스스로를, 직원들에 대해 더 많은 생각과 관심을 가지게 만들었다.
친구형 리더, 전사형 리더, 해결사형 리더 중 나는 어떤 형태인가?
우리 조직에서 원하는 리더상은 무엇일까?
세개의 형태가 적절하게 어우러지는 것이 최고의 리더이겠지만, 그래도 우선시되어야 하는 것이 있을 것이다.
그것을 확인하기 위해 직원의 형태를 알아보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실무자형, 선동가형, 보호자형, 중재자형, 행동가형.
나름대로 직원의 상을 그려놓고 있었는데 이렇게 명시적으로 분류하려고 하니 그들의 특징이 더욱 두드러져 보인다.

이제 권위적인 리더에서 벗어나 권위있는 리더가 되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