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모의 진심, 살아남은 자의 비밀
란즈커 지음, 박찬철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중국 역사에서 5대 10국은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 중 하나이다.
70년이라는 짧은 세월동안 이토록 많이 나라가 바뀌고, 황제가 바뀌었다.
흔히 난세에 영웅이 난다고 한다.
이러한 난세를 종식시키고 하나로 통일한 인물은 영웅으로 기록되고 추앙받는다.
그런데 그 난세를 모두 재상으로 지낸 인물이 있다면 믿겨지는가?
왕조가 바뀌고, 황제가 바뀌면 지난 시대의 인물들은 대부분 숙청이 되거나 다시는 벼슬길에 오르지 못한다.
이는 과거에도, 그리고 현재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이 풍파를 모두 이겨내고 30여년동안 고위 관리로 지낸 인물이 있다.
바로 이 책의 주인공인 '풍도'이다.
이 책은 열 한명의 황제를 모신 풍도를 통해 어떻게 처신을 해야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격변하는 시기에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그는 '사람'이 아닌 '진실'에 귀를 기울였고, 관심을 쏟았다.
그것이 그가 사람이 변하는 시기에 살아남을 수 있는 비결이였던 것 같다.
주변을 살피고, 옮고 그름을 적절하게 구분하고, 청빈하게 살았다.
높은 자리에 있다고 거들먹거리지 않았고, 황제의 총애를 받는다고 권력을 남용하지 않았다.
더 이상 비전이 없다고 생각되면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낙향을 하였다.
풍동의 이러한 변화를 누군가는 권력의 이동에 민감하게 반응한 처세의 달인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절대 그렇게 보지 않는다.
앞에서도 말한바와 같이 그는 '사람'을 따르지 않았고, 자신이 믿고 있는 '신념'을 따랐다.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
그럴 수 있다면 누구를 모시느냐는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 것 같다.
'풍도'라는 인물을 통해 지금의 우리가 되고자 하는 인재상을 다시 살펴볼 수 있다.
흔히들 처세는 최상의 권력을 가지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치부되곤 한다.
그렇다면 왜 권력을 가지려 하는가?
그 힘을 이용해서 자신의 권세를 누리기 위해서라고 하면 그냥 흔한 권력의 노예로 전락할 것이다.
풍도는 권력 그 자체의 힘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그 권력을 통해 자신이 믿고 있는 신념을 펼쳤기에 다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충신이 되는 것은 쉽지만 현신이 되는 것은 어렵다."
풍도의 '사영학'에 있는 내용이다.
과연 지금의 나는 충신이 되고자 노력하는가, 현신이 되고자 노력하는가 자문해 본다.
지금까지 내가 믿고 있던 인물상에 엄청난 변화를 주는 문장이다.
나 또한 충신이 좋다고 생각했고, 그러하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결코 그것만이 길이 아님을 깨닫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