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월한 사유의 시선 - 우리가 꿈꾸는 시대를 위한 철학의 힘
최진석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저자인 최진석 교수님을 알게 된 것은 EBS의 '인문학 특강'이라는 프로를 통해서였다.
노자에 대한 그의 강연은 그동안 내가 책으로 보아왔던 노자와 도교에 대한 나의 잘못된 이해와 질문에 대한 멋진 답을 제시해 주었다.
열정적인 그의 강연은 다시 내가 인문에 관심을 보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전까지 보았던 도올 선생의 강연과는 다른 무언가를 느끼게 해주었다.
그러하였기에 이번에 새로 나온 신간에 대한 나의 기대는 아주 컸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기대는 결코 헛된 것이 아니였고, 저자에 대한 나의 충성도는 더 높아진 듯 하다.

이 책은 철학책이다.
그런데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아오던 철학책이 아니다.
유명한 철학자의 사상을 담은 철학책이 아니라, '철학' 그 자체에 대한 심오한 고민을 안고 있는 책이다.

철학이라고 하면 공자, 맹자, 노자와 같은 동양철학이나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니체 등의 서양철학을 떠올린다.
그들의 사상도 분명 철학이다.
그런데 과연 그 철학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그냥 단순히 하나의 '지식'으로, '결과물'로 받아들이고 있지 않은가?
적어도 난 그랬다.
누가 이렇게 말했고, 그 말은 무엇을 뜻하는 것이다.
마치 시험을 보는 학생처럼, 누군가에게 할 멋진 대화 문구로 인지한 듯 하다.

이 책은 건명원이라는 곳에서 저자가 강의한 5개를 모아 책으로 편찬한 것이다.
왜 철학이 필요한지, 진정한 철학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위의 4개의 주제와 마지막으로 '문답'을 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선진국과 후진국의 차이는 결국 '철학의 차이'에서 발생한다고 말하고 있다.
우리가 무엇을 만들고, 사용하고, 생각하는 그 모든 것이 결국 철학에 근거하고 있다.
사실 철학이란 단어가 괜히 어렵고 무겁게 느껴지는 것이지 사람은 누구나 자신만의 철학을 가지고 있다.
교육이나 학습을 통해, 혹은 직적접인 경험을 통해 무엇이 옳고 그른지, 무엇을 하고 하지 말아야 할지를 알고 있다.
그것이 곧 철학인 것이다.

저자는 지금의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철학 수입국이 아닌 생산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남의 나라의 생각, 문화, 정치를 사용하여 그들보다 빠른 시일내에 올라섰지만 그들을 능가하거나 동등한 위치에 서려면 그들처럼 우리만의 고유한 사고체계가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사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에서도 많이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였기에 멋진 해결책을 얻은 기분이다.
보다 더 나은 것을 보고, 그에 준하는 것을 만들기는 쉬웠으나 그들보다 더 나은 무언가를 만들려고 하니 보통 어려운 것이 아니였다.

'철학은 국가 발전의 기초다'라고 말했던 중국 도사의 경지까지는 아닐지라도 국민 모두가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누군가가 말하고 알려주었던 생각이 아닌, 그보다 더 나은 자신만의 생각을 해야 한다.
어쩌면 지금이 거인의 어깨위에 올라서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