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넘어 창업 - 뒤늦게 창업해 성공한 사람들의 8가지 원칙
린 베벌리 스트랭 지음, 정주연 옮김 / 부키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과히 창업의 열풍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다.
청년들은 이전세대와는 달리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도전을 한다.
기성세대들은 창업에 대한 두려움은 있지만, 직장생활의 회의를 느끼거나, 타의로 인해 직장을 떠나면서 창업을 생각하고 있다.
경제는 어려워졌다고 하지만 새로움을 향한 이들의 도전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사업에 도전하는 것은 젊었을 때 하는 것이라는 편견은 버려야 한다.
그렇지만 나이가 들어 막상 창업에 도전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것을 알고(?) 있다.
그럼, 다시 생각해 보자.
정말 사업에 대해 잘 알고 있는가? 그래서 그 어려움을 헤쳐나갈 자신이 없는가?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젊지 않은 나이에 창업에 도전하여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을 말해주고 있다.
간략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이는 이 책의 목차와도 같다.
창업에 있어 나이는 그리 중요하지 않지만, 젊은 시절의 창업과 그렇지 않은 창업에는 차이가 있다.
바로 세상을 보는 안목과 지혜, 그리고 경험이다.
무모하지 않은 도전을 할 수 있는 용기가 있다면 창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늦은 나이에 창업한 사람들이 사업을 꾸려가면서 겪은 어려움, 지혜를 보여주고 있다.
각 장의 마지막에는 '창업 실천지침 10'이라는 항목을 통해 해당 장에서 말하고 싶은 내용을 깔끔하게 요약하고 있다.
사실 위의 목차를 보고 있노라면 창업을 생각하는 사람들이라면 나이에 상관없이 관심을 가지고 신경써야 할 것들이다.
다만 실패를 직접 겪고 다시 도전할 시간이 부족하기에 그런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방법들이 좀 더 추가되었을 뿐이다.

마지막에 소개하고 있는 '조언'은 창업에 머뭇거리고 있는 사람들에게 큰 힘이 되어 줄 듯 하다.
늦은 나이에 창업에 성공한 이들이 창업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창업에 있어 어려운 점, 중요한 것을 말해주고 있다.

늦게 창업을 하기에 더욱 더 꼼꼼하게 창업을 위한 준비과정이 있어야 하고, 더 세심하게 사업 전체를 살펴야 한다.
책에서도 소개한 맥도널드, KFC 창업자들도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의 연장선상에서 출발하였다.
지금 하고 있는 일과 전혀 다른 무언가를 생각하기 이전에 내가 하고 있는 일에서 창업을 할 아이템을 찾아야 할 것이다.

'우물쭈물 살다 내 이럴 줄 알았지.'
조지 버나드 쇼의 묘비명이다.
창업에 대해 우물쭈물하고 있는 건 아닌지 생각해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