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까칠하게 살기로 했다 - 상처받지 않고 사람을 움직이는 관계의 심리학
양창순 지음 / 다산북스 / 201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까칠하게 산다는 것.
솔직히 이전에는 감히 생각도 하지 못했던 것이고, 누군가 나에게 '까칠하다'라고 하면 기분이 별로 좋지 않았을 것 같다.
'까칠하다'의 사전적 정의는 '(성질이)부드럽지 못하고 매우 까다롭다.'이다.
이러니 누가 까칠하다는 표현을 좋아하겠는가?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그 시간에 비례하여 많은 사람들과 교류를 하면서 때로는 까칠해지고 싶다는 생각이 문득 들때가 있다.
너무 부드럽고 까다롭지 않아 편하게만 생각하는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도 해 본적이 있다.
분명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고 편안하게 대해주는 것이 올바른 것이라 교육을 받았고, 그리 믿었지만 때로는 이런 올바른 마음가짐을 악용하려는 사람들을 종종 만나곤 했다.
이런 만남은 상처가 되었고, 지금까지의 믿음이 틀린 것일까란 의구심을 갖게 하였다.
그리고 때에 따라서, 상대방에 따라서 분명하게 까칠해 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이 책을 통해 확인을 하였다.
까칠하다라는 사전적 의미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런 성향이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아니다.
그저 상대방이 편하게 느끼지 못할 뿐이다.
그게 전부다.
누군가에게 편안함을 주기 위한 배려를 걷어들이고, 나에게 편안함을 주기 위한 자유를 누리는 것, 이것이 저자가 말하는 까칠함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런 까칠함이라면 언제나, 누구에게나 환영 받을 것 같다.
내가 나를 인정하지 않으면 누가 나를 제대로 인정해 줄까?
나 자신부터 '확실히' 인정해야 한다.
아래는 저자가 말하는 까칠함 5단계이다.
까칠함의 단계 설명도 좋았지만, 개인적으로 나의 성향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인간관계 심리유형'이 제일 좋았던 것 같다.
매번 지피지기를 외치면서도 '지기'를 할 수 있는 시간이나 방법에 대해서는 딱히 투자-시간이든, 물질이든-를 하지 않았다.
이번 기회를 통해 나도 몰랐던 나에 대해서 조금은 더 자세히 알 수 있었던 것 같다.
이전 책을 보지 못했지만, 왜 베스트셀러였는지 충분히 공감이 간다.
저자의 직접적인 경험과 임상을 통한 예를 통해 왜 그래야만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느끼고 배울 수 있었다.
이제는 까칠하다라는 단어가 왠지 친숙해 질 것 같다. ㅎㅎ
이번 개정판을 통해 건강한 까칠함을 가진 사람들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