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 이런 경제법칙 알아? - 네이버에서 가장 많이 검색한 경제학 키워드 100
이한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6년 12월
평점 :
품절
언론을 통해 접하는 각종 경제 관련 용어나 법칙을 모두 이해하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분명 경제학적으로 고수일 것이다.
'경제학적 고수'가 '경제적 부자'의 필수 조건이기는 하지만, 충분 조건은 아님은 알 것이다.
그럼, 왜 쉽게 설명할 수 방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제 용어를 사용할까?
이는 짤막한 단어나 용어의 사용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줄이기 위함도 있지만, 상세하게 풀어 설명하는 것보다 더 나은 설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용어로 예를 들자면 '샐리의 법칙'과 같은 의미이다.
어떻게 해든 좋은 결과를 낳게 한다는 의미로 쓰이지만, 중의적인 의미도 함께 지니고 있기에 이렇게 풀어서 설명하지 못하는 애매모함도 용어를 사용하게 한다.
이 책은 경제학적 고수가 아닌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경제 용어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주고 있다.
100개의 경제 키워드에 대해서 2~3페이지 분량으로 해당 용어가 뜻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이 용어가 어떻게 쓰이는지, 이 용어를 접할 때 주의깊게 봐야 할 수치나 기준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각 장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처음에는 큼지막한 글씨로 키워드를 소개하고, 키워드에 대한 경제학적 설명을 짤막하게 보여준다.
일러스트와 삽화를 통해 해당 용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해당 용어의 탄생 비화나 역사(?)를 설명하고 지금은 이 용어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짤막한 예시까지 들어주고 있기에 더욱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무엇보다 목차가 찾아보기에 편한 자음순으로 되어 있어 생경한 용어를 접했을 때 보다 빨리 찾아 볼 수 있다.
엄청나게 많은 경제 용어 중에서 네이버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경제 키워드를 엄선했기에 경제에 대한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이 아니라면 분명 한 번 이상은 접해 보았을 용어일 것이다.
난 경제에 대한 관심이 있기에 이 책에서 언급되는 용어들은 대부분 접해본 듯 하다.
그 중 상당수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고 자신했는데... 아니였다.
이 책을 보지 않았더라면 경제 용어에 대해 계속 잘못된 이해를 하고 있을 뻔하였다.
이 책을 통해 경제에 관련된 법칙이나 용어도 무척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전에는 어렵다고 느껴졌던 용어가 왠지 친근하게 느껴진다.
경제에 대해 관심은 있으나 용어에 대한 이질감을 느끼셨던 분들이라면 이 책으로 그 기분을 친근감으로 확실히 바꿀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이 책을 보고 2017년을 경제에 대한 친근감을 가지는 원년으로 삼는 것을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