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 Model - 미래의 기회를 현재의 풍요로 바꾸는 혁신의 사고법
가와카미 마사나오 지음, 김윤경 옮김 / 다산3.0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즈니스 분야의 책이라고 하면 낯선 용어와 어려운 글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쓰는 용어들은 아니지만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많이 듣는 말들이고, 이제는 사회인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말들이라 생각한다. 

이 책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책이다. 
몇년전부터 1인 기업, 스타트업이 붐을 이루고 있다. 
그들 모두가 각자 자신들만의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들이 말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모두 유효한 모델이였을까?
그 유무에 따라 지금까지 살아있는가, 아닌가가 결정되었을 것이다.

저자는 첫 장에서부터 우리가 혼동하기 쉬운 '비즈니스 플랜'과 '비즈니스 모델'의 차이점에 대해 쉽게 알려주고 있다. 
사업소개서로 대변되는 비즈니스 모델은 모델이 아니라 플랜이다.
나는 사업을 이렇게 할 것이다라는 말 그대로 사업을 소개하는 문서이다.
이것을 가지고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하기에는 많은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의 특징은 스토리텔링 방식이라는 것이다. 
모든 스토리텔링 책들이 그러하듯 이 책의 내용도 어려운 상황에 빠진 기업을 멋진 방법-이 책에서는 이익 혁신 방법, 하이브레드 프레임-을 사용해서 다시 회사를 살려낸다는 내용이다. 
뻔한 얘기지만 우리가 이 책을 보는 이유는 스토리가 아닌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를 하기 위함이다. 
분명한 것은 이런 스토리텔링 방식이 쉽고 재미있게 이론과 내용에 빠져들게 한다는 것이다. 

각 장의 말미에 해당 장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이론이나 내용을 '비즈니스 통찰'이라고 하여 따로 설명해주고 있다. 
비즈니스를 잘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이 되어 있다.
이 책이 흥미있는 것은 저자의 직,간접적인 풍부한 실제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단지 이론이 아닌 현장에서 어떻게 접목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위의 표는 이 책에서 소개하는 '하이브리드 프레임'을 가장 잘 표현해주고 있다.
지금까지 나는 좌뇌만을 사용하여 비즈니스를 바라보았다.
좌뇌와 우뇌를 함께 사용하여야 한다는 하이브리드 프레임은 나의 갇힌 비즈니스 사고를 확장시켜 줄 멋진 방법이라 생각한다.

이 책을 통해 얻은 가장 큰 소득은 비즈니스에 있어서 이익창출 방법이다.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익을 얻는 시점의 변화이다. 
지금까지 이익이 창출되는 시점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순간이라고 생각했는데 제품이나 서비스를 원가, 혹은 무료로 제공하더라도 그 이후에 과금이 가능하다는 것이 아주 새롭게 다가왔다.
생각해보니 지금 내가 몸담고 있는 분야에서도 이미 이러한 변화를 보이고 있었는데, 나만 몰랐던 것 같다.
조금만 관점을 달리하면 이토록 다른 세상이 보인다니..
주인공인 스도의 환상적인 기분을 나도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을 통해 내가 가장 부족하다고 느낀 것이 바로 위의 표에서 보는 '고객의 활동' 부분이다.
기업의 입장에서만 생각하다 보니 판매가 비즈니스의 종료라고 생각했는데, 그것이 아니였다.
조금 더 크고, 길게 생각하고 바라보아야 했다.
지금이라도 이런 멋진 사실을 알게 됐다는 것에 대해 감사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