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는 것만으로 마음을 얻는다 - 35년 연구로 증명한 기적의 소통법
마이클 니콜스 지음, 이은경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듣는다는 것. 
우리는 매일 소통을 하며 살고있다. 
기술의 발전은 소통을 할 수 있는 도구의 발전과 다양성을 가져왔다.
이러한 다양성은 보다 쉽고, 편안한 커뮤니케이션을 이뤄지게 해 주었다는 장점도 있지만, 인간이기에 할 수 있는 소통의 수단을 점점 덜 사용하는 단점도 불러오고 있다.
분명한 것은 예전부터, 그리고 앞으로도 소통에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인간적인 것-은 바로 음성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전화나 대면접촉일 것이다. 
인간이기에 단지 '말'이 아닌 '표정'을 통해서도 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소통, 그 중에서도 말하는 것이 아닌 듣는 것에 대한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말하고 있다. 
흔히들 '소통'과 '설득'을 혼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 듯 하다.
'잘 소통된다는 것'이 '잘 설득하는 것'이 아닌데, 이와 유사한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다.

소통이란 나의 주장이나 의견을 상대방에게 올바로 전달하는 것이다. 
맞는 말일까?
아니다. 
소통은 일방이 아닌 쌍방이다. 
그렇기에 나의 말도 중요하지만 상대방의 말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이 책을 보면서 난 듣기를 잘하고 있을까란 생각을 해 보았다. 
단지 누군가의 '말'을 듣기만 할 뿐, 그 말에 대해 나의 감정을 넣어 함께 공감하지는 않은 듯 하다.

아래는 이 책에 있는 올바른 경정을 위한 방법을 정리한 글이다.
 


단지 말을 듣는 것이 아니라, 생각과 감정을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저자는 좋은 청자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욕구-말하고자 하는 욕구-를 잘 참아야 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맞는 말이다.
나의 생각과 반대되는 의견을 듣고 있을 때 상대방의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끼어들지 말아야 한다.
모두 듣고 있으면 결국 나의 생각과 같은 말을 하고 있음을 느낄 때도 있다.
탈무드에 있는 사람이 입이 하나고, 귀가 두개인 이유에 대해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35년간 상담치료사로 일하면서 자신이 알게 된 경청의 방법에 대해 말하고 있다. 
소통을 잘 한다는 것은 상대방의 말에 적극 공감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무조건적인 예스가 아니라, 난 당신의 말을 잘 듣고 있다는 유무형의 신호를 보내주어야 한다.
이 책으로 '듣기'의 중요성에 대해, 그 방법에 대해 다시 한번 상기하고 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