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짜물리학 - 기발한 상상력으로 풀어낸 지적 교양을 위한 물리학 입문서
렛 얼레인 지음, 정훈직 옮김, 이기진 감수 / 북라이프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리학이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어려운 용어와 그 용어를 증명한다고 하는 복잡한 수식?
솔직히 부인하기 힘든 사실이기도 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잘 느끼지는 못하지만 물리는 우리가 살아가는데 상당히 많은 도움을 주고, 상당히 많은 영향을 끼치는 학문이다.
물론 물리를 잘 안다고 해서 살아감에 있어 더 많은 혜택과 더 편리함을 직접적으로 느끼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모르는 것에 비해서는 ‘분명’ 더 나은 점이 있음은 분명하다.

이 책의 저자는 스스로가 Geek이라고 할 정도로 괴짜스러운 면이 없지 않다.
그럼에도 이 책에서 소개하는 내용은 그렇게 괴짜스럽지는 않다.
아니, 전혀 괴짜스럽지 않고 물리에 대한 흥미를 아주 많이 불러 일으키는 것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냥 무심코 넘어갔던 내용들이나 영화나 공상과학에서나 볼 수 있는 것들에 물리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소개해 주고 있다.

주제가 흥미있어서인지 물리를 설명하는 내용도 조금은 덜 딱딱하게 느껴졌다.
물리를 설명함에 있어 복잡한 수식과 계산은 피할 수 없기에 이 책에서도 언급되고 있지만, 문맥을 파악함에 있어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물리학자이기에 일종의 직업병(?)으로써 당연할수도 있지만, 우리 주변의 일들을 모두 물리로 해석하는 것 또한 재미있다.
자동차끼리 충돌하는 것보다 벽에 충돌하는 것이 더 위험할까?, 인구가 늘어나면 지구가 달을 끌어당길까?와 같이 생각하지도 못한 것들은 물리에 대한 흥미를 키우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마블시리즈로 유명한 헐크, 토르, 캡틴 아메리카의 내용도 영화를 보면서 조금은 사실적으로 해석해 보고 싶은 부분이였는데 시원하게 잘 긁어주었다. ^^
낙하시 열에너지가 발생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그를 응용해서 칠면조를 구울 수 있을지를 생각하다니...정말 괴짜스럽다.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괴짜스러움이야말로 학자가 가지고 있어야 할 진리 추구의 자세가 아닐까란 생각도 든다.
모든 것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단지 기존의 학설이나 정리를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더 새로운 무언가를 찾기는 어려울 것이다.

물리에 대한 호기심은 이 책으로 충족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호기심을 만들어냈다.
물리학 입문서로 ‘재미’와 ‘학문’을 적절히 잘 섞어놓은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