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로 시대 - 살아남는 기업은 무엇이 다른가
김남국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16년 4월
평점 :
내가 이 책에 주목하게 된 것은 저자의 약력때문이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잡지 중의 하나인 DBR의 편집장이기 때문이다.
경영, 경제 분야의 가장 핫하고 신선한 뉴스를 제공하는 잡지의 편집장이 보는 경영, 기업은 어떤 것일까 무척 궁금했기 때문이다.
경영학은 선도적인 학문이 아니라 후행적인 학문이다.
많은 이론들을 만들어 낼 수는 있겠지만, 그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실제 사례가 필요하다.
하지만 어떤 이론을 확인하기 위해 기업을 만들거나 시장에 뛰어들지는 않는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경영 이론들은 성공한 기업의 문화나 방법들을 연구하여 성공기업들의 공통점이나 차별점을 별도의 이론으로 만들어 내곤 한다.
이 책의 저자 또한 이와 비슷한 분석을 하고 있다.
차이점이라고 하면 가장 최신의 기업 분석 사례를 근거로 하고 있기에 향후 근래에 저자가 주장하는 내용들이 모두 맞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저자는 서두에서 밝혔듯이 현 시대의 변화는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일컬을 정도로 그 변화의 폭이 크기에 이 변화를 3가지 아젠다를 가지고 말하고 있다.
- 생산자 가치에서 고객 가치로의 전환
- 이성에서 감성으로의 전환
- 표준화에서 개성으로의 전환
이러한 전환이 지금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다양한 실제 사례들을 도출하여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역사를 곰곰히 되돌이켜 보면 이러한 전환은 그와 반대로, 혹은 위와 같이 늘 이뤄져왔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시대의 전환'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은 그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다.
시대를 선도하느냐, 빠르게 따라가느냐에 대한 보다 분명한 기업 컨셉이 중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전자는 리스크가 큰 반면에 그에 따른 수익도 크다.
후자는 리스크는 적지만, 보다 많은 비용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어느 정도의 수익을 낼 수 있다.
이 책은 50%의 전자와 50%의 후자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의 제목대로 이제는 ‘제로시대’이다.
일본처럼 마이너스 금리가 되지 않으리라는 보장도 하지 못하고, 예전에 각광받던 직업들이 이제는 그렇지 않게 되고, 기계와 IT산업의 발달로 절대적인 일자리의 수는 감소하고 있다.
이런 위기속에서도 살아남는 기업이 있고, 더욱 확장하는 기업도 있다.
이는 개인도 마찬가지이다.
과연 나는 어떠한 포지션에서 무엇에 포커스를 두고 노력해야 할지 생각해 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