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말할까 - 만남과 대화가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설명서
로버트 볼튼 지음, 한진영 옮김 / 페가수스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말’만큼 커뮤니케이션에 편한 도구도 없고, 어려운 것도 없는 듯 하다.
한번 입밖으로 나온 것을 다시 되돌릴 수도 없지만, 음성뿐만 아니라 감정을 함께 실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이 ‘말’을 하지 못한다고 해서 피할수도 없다는 것이다.
단순히 일을 하는데 있어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모든 관계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말’은 무조건 잘하는 것밖에는 답이 없다.
적어도 제대로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은 갖추어야 한다.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인 저자는 바로 이 말에 대해 6여년간 연구하여 이 한 권의 책에 그 결과를 집대성하였다.
단순히 어떻게 하면 말을 잘하는가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대화를 통해 가장 어려움을 겪는 12가지 상황에 대해 각각의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인 것 같다.
6여년간의 연구 시간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이 책에는 아주 풍부하고 다양한 예를 담고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책의 순서 또한 우리가 관계를 형성하는 프로세스와 비슷하게 구성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흐름을 따라갈 수 있다.
서두에는 ‘관계’란 무엇인지, 어떤 관계를 형성해야 하는지, 그 관계를 만들고 유지함에 있어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듣기'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말하는 책임에도 '말하기'보다 '듣기'를 더 먼저 소개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만큼 올바르게 듣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말하기'에 대해 말하고 있다.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말하기는 그 어떤 멋진 화법보다도 중요한 진정성이 담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올바른 관계 형성을 위해 잘못된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오해 등을 '풀기'를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이 좋은 점은 '기본에 충실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단순하다. 그렇기에 명확하다.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머리를 쓸 필요가 없다. 그저 책의 내용대로 하면 된다.
문제는 역시 자신의 의지이다.
명확하게 이해되는 것이 이토록 실행하기 힘들 줄이야...
'어려운 것'이 아니라, '힘든 것'이다. 역시 의지의 문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