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 어떻게 무너진 블록을 다시 쌓았나
데이비드 로버트슨.빌 브린 지음, 김태훈 옮김 / 해냄 / 2016년 3월
평점 :
품절


 

어릴적 레고 장난감은 나의 드림 중 하나였다.
당시에는 몰랐지만 상당히 비싼 완구-지금도 그리 싸지는 않아 보인다-였고 일단 만나보기도 힘든 오지(?)에 살고 있었다.
장난감 자체가 워낙 귀한탓도 있었지만, 레고의 가장 큰 매력은 원하는 것을 직접 만들 수 있다는 것이였다.
그나마 특허가 기간이 만료되어 지금은 보다 쉽게, 그리고 많이 접하는 것 같다.

이 책은 바로 이 레고를 만든 회사의 이야기다.
위의 정리를 보고 유추한 바와 같이 승승장구하던 레고는 특허 만료와 함께 유사품과 초기의 성공을 누리며 정체를 한 탓에 점점 어려워지게 된다.
1부에서는 위의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2부에서는 다시 부활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과연 레고는 어떻게 다시 살아나게 되었는가?
기존의 레고는 똑똑한 소수의 사람들의 생각을 제품으로 만들어 시장에 출시하였다.
이러한 것은 기존의 완구와의 차별성으로 부각되어 흥미를 유발하였다.
하지만 차별성이 없는 동종의 모델들이 나오면서 굳이 값비싼 '레고'를 구입해야 하는 이유는 점점 줄어들었다.
이에 레고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선별적인 제품 라인업을 정비하고, 신제품에 자신들의 생각이 아닌 고객-아이들-들의 의견을 반영했다.
무엇보다 기존의 제품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였다.
단지 완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레고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레고라고 하면 믿기지 않을 여러가지 형태의 색다른 서비스는 다시금 레고의 시대를 만들어 가고 있다.

마트에 가면 한동안 눈에 잘 보이지 않던 레고 제품들이 완구 매대에 많이 놓여있는 것을 보게 된다.
내가 어릴 적 가지고 놀던 레고라고는 생각할 수 없는 것들이고, 아이와 함께 놀고싶다는 생각을 들게 만드는 것들도 있다.
물론, 레고는 생각보다 많이 어른들도 가지고 있다. ^^

이 책을 보면서 아무리 성공적인 아이템, 서비스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변화가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금의 성공에 안주하지 말고, 그 성공을 이어가기 위한 변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히애 한다는 것이다.
레고를 조립하는 아이들처럼, 기업도 멋진 블록-좋은 인재-만을 가지고 있다고 좋은 작품-성공적인 회사-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적재적소에 꼭 필요한 블록들이 있어야 멋진 작품을 만들 수 있다.
멋진 블록도 물론 필요하지만, 그것을 정말 멋지게 보여질 수 있는 꼭 필요한 블록도 필요함을 잊지 말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