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조하지 않게 사는 법 - 불안, 걱정, 두려움을 다스리는 금강경의 지혜
페이융 지음, 허유영 옮김 / 유노북스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저자인 페이융은 전작인 '인생이 즐겁지 않다면 한산을 만나라'를 통해 만났다.
전작에서의 만족도가 높았기에 이 책에 대한 기대도 컸다.
결과부터 말하면 역시 나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이 책은 표지에서 나와 있듯이 '금강경'에 대한 이야기이다.
'금강경'이란 글만 보고 이 책이 불교적 색채만으로 가득한 책이라는 편견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물론 불교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긴 하지만 성경 등 서양철학에 내용도 간혹 보인다.
이 책은 금강경에 대한 해설이 아니라, 자기계발의 측면에서 바라본 금강경을 다룬 책이다.
성경이나 논어 등을 통해 보다 나은 인생을 추구하는 것과 같다.
앞에서 말한 책들은 다수가 있었던 반면에 금강경을 자기계발의 측면에서 바라본 책은 그리 많지 않다.

인간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희노애락을 느낄 수 밖에 없는 존재이다.
기왕이면 기쁘고 좋은 것만을 누리고 싶은 욕심(?)을 가지고 있지만 실상을 그렇지 못하다.
보다 더 나은 것을 가지고 누리기 위해 우리는 얼마나 많은 노력과 마음고생을 하고 있는가..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그런 걱정과 불안을 떨칠 수 있는 부처의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사실 부처의 가르침이란 것이 '이것은 무엇이다'라고 명확히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선문답과 같은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어느 정도의 깊이가 없는 독자들에게는-물론 나도 포함하여- 그 진의를 파악하기가 결코 쉽지 않다.
그나마 이 책은 나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쉽게 되어 있다.
금강경 전체를 얘기하는 것도 아니고, 법문을 원문 그대로 소개하고 있지 않다.
대화 내용을 보여주고, 그 대화를 통해 싯다르타가 제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진의가 무엇인지를 다양한 예를 통해 쉽게 말하고 있다.
각 문단 마지막에 깔끔하게 정리된 내용은 지금의 나를 많이 반성하게 만들었다.
내가 방황하고 있지는 않은지, 집착하고 있지는 않은지 등...
불교의 책답게 직접적인 가르침보다는 자기 스스로를 생각하게 만드는 힘이 있는 것 같다.
곁에 두고 틈틈이 읽는다면 지금의 불안과 걱정을 덜고 조금 더 행복한 인생을 살 수 있을 것 같다.
책의 마지막에는 금강경에 대한 보다 깊은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우리말로 된 원문을 제공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