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지널스 - 어떻게 순응하지 않는 사람들이 세상을 움직이는가
애덤 그랜트 지음, 홍지수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제목을 처음 접했을 때, '원래, 최초'의 의미의 오리지널을 떠올렸다.
그러나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의미는 '창작, 독창적'이다.
즉,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사람들이란 뜻이다.
책의 제목을 떠나 이 책의 저자인 애덤 그랜트는 나에게 이미 훌륭한 저자로 인식되어 있었기에 이 책을 선택함에 있어 주저하지 않았다.
전작인 '기브 앤 테이크'에서의 멋진 모습이 너무 각인되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세상과 타협하지 않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낸 '오리지널스'에 대해 말하고 있다.
'창조적이다', '독창적이다'라는 말은 지금까지 세상에 보이지 않았던-혹은 인지하지 못했던- 것들에 대한 표현이다.
그것을 어떻게 찾아내고, 그렇게 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아니, 보다 정확히 말하면 스스로 무엇이 필요한지를 느끼게 해주고 있다.
스티븐 잡스나 링컨과 같이 이미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야기의 흐름이 너무나 자연스럽기에 쉽게 몰입이 된다.
저자는 이 책의 마지막까지 오리지널스가 되기 위한 조건이나 방법을 '이것이다'라고 명확히 얘기하지 않는다.
그저 실제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더 직접적이고 명확하게 인지하도록 한다.
하버드의 MBA 교육방식과 비슷한 느낌이다.
그리고 마지막에 '효과적인 행동 지침'을 통해 저자가 말하는 오리지널스가 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부분이 이 책에서 유일하게 저자의 생각이 담긴 부분이다.
그리고 이 책의 핵심일 것이다.
만약 반대로 이 부분이 서두에 오고 나머지가 뒤에 놓였다면 지금 내가 느끼는 것처럼 행동 지침이 깊게 와 닿지는 않았을 것 같다.


이 책을 보는 내내 쉴새없이 나오는 인물들의 이야기를 보면서 이 책을 쓰기 위해 저자가 얼마나 노력했을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다.
역시나 책 마지막에 나오는 어마어마한 참고문헌을 보니 그저 '대단하다'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지금 나는 세상에 순응하고 살고 있는가? 아니면 세상을 바꾸려고 노력하는가?
누구나 세상을 바꿀 수 있지만, 누구나 세상을 바꾸지는 않는다.
못하는 것인가? 안하는 것인가?
순응하며 살아가는 것을 결코 옳지 않다고 할 수 없지만 적어도 자신의 뜻에 부합하지 않는 세상의 일부분이라도 바꾸려 노력해야 되지 않을까?
오리지널스가 되기 위한 방법이라는 전가의 보도를 얻으니 무엇이라도 베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인가?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