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 ⓔ 4 - 세상을 깨우는 시대의 기록 ㅣ 역사 ⓔ 4
EBS 역사채널ⓔ 지음 / 북하우스 / 2016년 1월
평점 :
요즘 TV를 잘 보지 않는다.
그래도 다큐 프로그램와 EBS의 프로그램을 종종본다.
마음놓고 아이들과 함께 볼 수 있고, 무엇보다 TV가 바보상자가 아닌 지혜상자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제목인 역사e는 EBS의 '역사채널?'의 내용을 책으로 묶은 것이다.
5분 정도의 짧은 내용으로 교과서에 있는 역사가 아닌 살아있는, 아니 살아있었던 당 시대의 사회,문화,예술 등을 소개하는데 역사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였다.
단점이라면 바로 이 장점, 즉 흥미와 관심을 끌어놓고 보다 깊은 내용을 소개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그러기에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했을 것이다.
이러한 아쉬움을 가진 애청자들을 위해 역사e라는 제목으로 프로그램에 소개되었던 내용들을 시리즈로 출간하고 있다.
이 책들의 장점은 프로그램에서 소개되었던 내용을 간략 정리하고 그 뒤에 보다 깊은 역사적 배경과 관련 사회,문화적 배경을 설명해 주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교과서로 배우고, 시험을 보기 위해 줄줄이 외웠던 누가 몇년에 어떤 일을 하였느냐가 역사가 아니라 이 책에서 소개하는 당 시대의 인물들의 생각과 행동들이 바로 진정한 역사가 아닌가 생각한다.
이 책은 크게 '잊혀지다','지켜내다','기록하다'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잊혀지다'에서는 내가 알지 못했던 내용들이 많아서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이었다.
- 국보와 보물의 차이, 번호는 결코 중요순이 아니라는 것.
- 지금은 흔한 과일이 되어 버린 귤이 당시에는 무척 귀한-어쩌면 평생 한 번도 접해보지 못했던- 과일이였다.
-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된 두만강 끝에 위치한 녹둔도의 슬픈 역사
'지켜내다'에서는 우리가 잃어버릴 수도 있었던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 지금도 상당한 규모라 생각했던 경복궁은 실제로 더 컸다는 것.
- 수해로부터 수도를 지키기 위한 청계천
- 일제로부터 아이들을 지켜내기 위한 소파 방정환 선생
'기록하다'에서는 어쩌면 그냥 일상으로 묻혀버릴 수도 있었던 일들의 기록을 보여준다.
- 조선시대에도 태교가 있었다.
- 왕비가 되기 위한 자격과 절차
위와 같이 내가 몰랐던 것들에 대한 소개도 있고, 내가 알고 있던 역사적 지식들을 다시 한번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다.
이 책을 보면서 다시 한번 느끼는 것이지만, (요즘 교과서를 보지는 못했지만) 우리나라의 역사 교과서도 위와 같은 재미있는 구성으로 바뀌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이 책은 우리가 잊어서는 안 될 역사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재미있게 역사를 접할 수 있는 좋은 텍스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