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성공하는 사람만 성공할까 - 하나의 성과로 더 큰 성과를 만드는 사람의 비밀
아이하라 다카오 지음, 이진원 옮김 / 유노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누구나 성공하고 싶어한다.
그렇기에 그것을 이루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
그런데도 모두가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왜?
저자는 이 책에서 그 차이는 바로 '선순환'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
흔한 말로 '안되는 놈은 뒤로 자빠져도 코가 깨지고, 되는 놈은 넘어져서 돈을 줍는다'와 비슷한 맥락이다.
저자는 되는 놈을 '하이퍼포머'라고 말하고 있다.
이 책은 어떻게 하이퍼포머가 될 수 있는지, 하아퍼포머를 어떻게 유지할 수 있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자신과 관련있는 모든 것에 대해 알려고 하는 사람은 결국 그 일에 치여 살게 된다.
적절한 작업의 위임을 해야 하고, 자신이 잘하는-혹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일에 집중하는 것이 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다.
팀장이면 팀장으로써, 팀원이면 팀원으로써 자신의 직책에 맡는 일을 해야 한다.
주변에서도 팀원으로는 좋은 성과를 내던 사람이 팀장이 되어서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팀장으로 팀의 성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데, 이전의 팀원처럼 일을 처리하기에 그렇게 되는 것이다.
저자가 말하는 하이퍼포머가 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실패를 훈련한다.
- 작은 행동을 계속한다.
- 동료의 성공을 돕는다.
- 우연한 성과를 기뻐하지 않는다.
- 환경이 바뀌면 바로 적응한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을 하지 않아도 그 어떤 성공도 한 번에 이뤄지지 않는다.
부단한 학습과 노력, 그리고 연습이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실패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이는 보다 더 나은 방향, 결과를 찾기 위한 과정이다.
어쩌면 '실패'라고 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목표'까지 도달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고, 그 과정에 이르기 위해서는 작은 행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은 행동'이 모여 '큰 결과'를 낳는다.
행여 단 한번의 시도로 성공을 했다고 좋아해서는 안된다.
한 번의 행운을 결코 자신의 실력으로 착각하는 그 순간, 단 한번의 성과를 내는 것에 그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변화는 환경에 예민하게 반응해야 한다.
환경을 주도적으로 변경할 수 있을 능력이 있지 않다면-이럴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환경에 빠르게 적응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지속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점점 복잡,다양해지는 현대 사회에서 '나 홀로' 무언가를 만들기는 점점 더 힘들어 지고 있다.
혹시 그럴수 있다 할지라도 성과의 '크기'는 팀이나 조직으로 하는 것보다 작을 것이다.
그렇기에 나 혼자가 아닌 동료, 팀, 조직의 성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 책의 핵심은 성과를 많이 낼 수 있는 하이퍼포머에 대한 이야기이겠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문구는 제일 마지막의 에필로그인 것 같다.
'시대는 변해도 성공 법칙은 변하지 않는다'
위에서 말한 하이퍼포머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제대로 익혔다면 시대가 어떻게 변할지라도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시대의 흐름을 쫓을 것이 아니라 성공 법칙을 익혀 시대를 이끌어 가는 사람이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