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버드 학생들은 더 이상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는다
파리드 자카리아 지음, 강주헌 옮김 / 사회평론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책 제목을 보고 무슨 생각을 하였는가?
모두가 동경하는 세계 최고의 앨리트 중의 하나인 하버드 학생들이 인문학 대신에 무엇을 공부할지 궁금하지 않았는가?
그것이 과연 무엇일까?
미안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없다.
출판사에서 번역을 한 이 책의 제목을 이런 호기심이 일어나게 잘 변형하였다.
좀 더 솔직히 고백하자면 위와 같은 호기심에 이 책을 집어 들었다면 당신은 '낚였다'
이 책의 내용을 알고 싶다면 원제를 보는 것이 훨씬 더 직관적이다.
In defense of a liberal education.
직역하자면 '고등교육(교양교육)의 방어' 정도가 되겠다.
세계를 막론하고 대학 졸업 후 바로 실질 업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육을 중시하다보니 상대적으로 업무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는 교양교육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도 그런 듯 하다.
저자는 이런 교육현실에 교양교육의 중요성과 경각심을 주기 위해 이 책을 출간했다.
지금 우리나라에 불고 있는 인문학의 열풍도 참된 인문의 깊이를 알게 해주기 보다는 인문이 업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홍보하는 경향이 짙다.
당장 깊이있는 연구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대학에서의 교양학부의 위치를 보면 알 수 있다.
저자의 말에 격하게 공감하기는 힘들지만, 저자의 주장에는 어느 정도 공감할 수 있다.
문제는 말 그대로 교양은 어느 정도의 생계가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후에야 챙길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이다.
지나친 비유일지는 모르지만 마치 예전의 양반들이 생계를 팽개치고 책상앞에서 공자와 맹자만을 논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들의 그러한 노력이 모두 허사가 된 것은 아니지만 분명 시대에 뒤떨어지는 것들도 상당히 있었음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지나친 실리주의로 인해 교육이 단지 생계에 도움이 될 무언가'만'을 가르치는 것으로 치우치는 것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
인류의 발전은 기술만으로 이룬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인간에 대한 처절한 고뇌과 반성, 통찰 등이 기술을 통해 발전된 것들도 많다.
저자는 조선시대와 같이 책상 머리에 앉아 있는 것과 요즘과 같이 지나친 실질적인 교육과 같이 한쪽으로 치우침을 경계하자고 말하고 있다.
분명 지금은 '스페셜리스트'의 시대이다.
하지만 이들을 통합하고 적절하게 묶을 수 있는 '제너럴리스트'들이 없다면 인류의 발전은 더디게 진행될 것이다.
현재와 미래를 함께 준비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과 통찰의 필요성을 이 책을 통해 느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