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업의 철학 - 성공한 사람들은 절대 말해 주지 않는 성공의 모든 것
마이클 E. 거버 지음, 이제용 옮김 / 라이팅하우스 / 2015년 9월
평점 :
청년실업과 함께 장년층의 실업도 점점 사회적으로 문제화되어 가고 있다.
청년들에게는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창업을 도와주고 있고, 기존의 장년층들은 자영업을 포함한 사업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자영업과 창업은 성공을 기대하고 시작했지만, 현실은 실패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과연 그 많은 사람들이 단지 요행만을 바라고, 노력을 게을리해서일까?
절대, 당연코 아니다.
그들 대부분은 누군가의 고용인으로 일할때보다 더 열심히 일을 했고, 더 많은 생각을 했다.
그럼에도 왜 실패를 했을까?
이런 사람들을 위한, 그리고 이러한 실패를 하지 위한 창업자들을 위한 매우 현실적이고, 매력적인 조언으로 가득차 있다.
이 책은 큰 기업이 아닌 작은 기업,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하려는 스타트업이나 자영업자들에게 성공에 이르는 길을 알려준다.
이 책을 통해 가장 크게 깨달은 점은 보통 작은 사업이나 자영업을 하는 사람들은 사업과 나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
내가 시작했고, 규모가 작기에 나의 비중이 큰 것은 사실이지만 나와 사업을 같게 취급해서는 안된다.
내가 사업에 이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사업을 이끌어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세가지 마인드가 필요하다.
기업가의 마인든, 관리자의 마인드, 기술자의 마인드.
창업을 시작했거나, 고려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좋은 아이디어-객관적이지 않은 주관적인-를 가지고 있는 기업가의 마인드를 가지고 있거나 뛰어난 기술-이 또한 주관적인-을 가지고 있는 기술자의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렇기에 자신의 마인드가 아닌 다른 마인드의 부족으로 사업이 번창할 수 없게 된다.
이 책은 이러한 자질이 왜 필요한지를 설명하고, 저자가 산업혁명에 버금가는 비즈니스 혁명이라 말하는 턴키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이는 초창기 프랜차이즈가 아닌 비즈니스 프랜차이즈를 말하는 것이다.
쉽게 이야기하면 요즘 많은 프랜차이즈들이 보여주고 있는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 사업 모델이다.
누구나 특별한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표준적인 메뉴얼에 의해 누구나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요즘 프랜차이즈를 한다는 것은 본사만 살찌워준다는 인식이 강하지만, 자신만의 사업을 꿈꾼다면 이런 프렌차이즈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기업을 만들기 위해 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사업 목표에서부터 조직, 관리, 인사, 그리고 궁긍적으로 이 모든것이 잘 어우러질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사업을 열정과 노력만으로 할 수 없다.
지금 당장 내가 할 일을, 할 수 있는 일을 살펴볼 것이 아니라 좀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내가 사업을 하고자 하는 목적을 생각하고, 내가 없이도 돌아갈 수 있는 시스템을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