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터 코드 - 세상에서 가장 창조적인 기업가들의 6가지 생각 도구
에이미 윌킨슨 지음, 김고명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크리에이터란 누구일까?

어떻게 해야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을까?
저자는 크리에이터가 가져야 할 자질로 다음 6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 빈틈을 찾는다.
- 앞만 보고 질주한다.
- 우다 루프로 비행한다.
- 현명하게 실패한다.
- 협력을 도모한다.
- 선의를 베푼다.

그리고, 각각에 대한 성공한 크리에이터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빈틈을 찾는다'는 레드오션 속에서 블루오션을 찾는 탐험가적 자질을 말하고 있다.
지금 현재 존재하지 않는 것을 찾는 빈틈을 찾는 날카로운 시각을 가져야 한다.
'앞만 보고 질주하는 것'은 뒤돌아보지 말고 지금 자신이 해야 하는 것에 몰입하여 전진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 시각은 근시안적인 것이 아니라, 지평선을 바라보듯 멀리 바라보고 나아가야 한다.
'우다 루프로 비행하는 것'은 성공의 행동 방법을 말하고 있다.
우다(Observe : 관찰, Orient:방향, Decide: 결정, Act:행동)을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지금 일어나고 있는 것에 대한 관찰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잡고, 그 결정을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다.
짧은 순환주기를 통해 빠른 변화에 보다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이다.
늘 시장과 소비자의 동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그 변화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관찰을 통해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조정하고, 무엇을 해야할 지, 하지 말아야 할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그런 결정을 빠르게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이는 다음에 소개하는 '현명하게 실패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짧은 행동방식으로 지금 우리가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한 성공과 실패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성공은 보다 더 공격적인 방식으로 나아갈 방향을 찾고, 실패는 방향을 다시 조절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실패를 하지 말아야 할 것이 아니라, 작고 짧은 실패를 통해 성공으로 가는 길을 찾는 것이다.
이는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하는 과정과 흡사하다.
단 한번의 시도로 성공을 하는 사람은 천운을 타고 났다고 봐도 좋을 듯 하다.
어쩌면 우리는 이런 성공을 경계해야 한다.
현명한 실패를 통해 성공으로 가는 길을 찾고, 같은 실패를 경험하지 않을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고 봐도 좋다.

'협력을 도모하는 것'은 이제는 혼자서 할 수 있는 일보다는 팀, 조직이 이룰 수 있는 일이 더 많고, 그 결과도 더 좋다.
좋은 팀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고, 서로가 함께 같은 목표를 향해 달려갸야 한다.
마지막으로 소개하는 '선의를 베푼다'는 좋은 기업, 오래되는 기업을 갈 수 있는 것을 말하고 있다.
위에서 소개한 5가지가 잘 이뤄지고 있다고 해도 마지막의 것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크리에이티브는 할지 몰라도 그리 좋은 사례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은 내가 놓치고 있던 것들을 많이 일깨워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스타트업에 몸을 담고 있지만, 너무 근시안적인 목표를 보고 있고 긴 행동방식을 가지고 있던 것은 아닐까 반성해 본다.

우다루프 방식은 내일 당장 우리 회사에 도입을 시도해 볼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