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짜처럼 생각하라 - 상식에만 머무는 세상을 바꾸는 천재 경제학자의 사고 혁명
스티븐 레빗 & 스티븐 더브너 지음, 안진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저자의 이전 저서인 '괴짜 경제학'을 통해 경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찾을 수 있었다.
물론 그 관점을 계속 유지할 수는 없지만-그러면 정말 괴짜 취급받을지도..- 적어도 예전처럼 고정된 프레임에 갖힌 사고를 하지 않으려 노력하고 있다. 
이 책은 이런 멋진 관점을 경제에 국한하지 않고 더욱 넓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해준다.

과짜란 무엇인가?
남들이 하지 않는 것을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그러면 남들-대다수라고 칭하자-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 언제나 옳을까?
저자들은 '언제나'에 포커스를 맞추고 그것이 틀릴 수도 있다는 가정하에 질문을 던지고 있다.
물론 그 질문들이 언제나 정답을 찾는 방법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생각보다 많은 것에 대해 멋진 해결방안을 가져다 준다고 한다.

이 책을 보고자 하는 사람은 띠지에 있는 말처럼 '당황'할 준비를 해야 할 듯 하다.
지금까지 가지고 있는 사고방식을 고수하려는 사람, 특히 바꿀 필요를 전혀 느끼지 못하는 스스로 성공적인 삶을 살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시간낭비로까지 비춰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처럼 적당한 변화를 좋아하고 무언가 새로운 것을 찾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정말 재미있는 책이 될 것이다.
하버드 경제학부를 최우수로 졸업하고 현재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저자가 말하는 괴짜는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은가?

저자가 말하는 괴짜란 상식을 거부하는 것이다.
경험적으로, 도덕적으로, 혹은 교육을 통해 얻은 지식들에 대해 다시 한번 확실하게 검증해 보자고 하는 것이다.
교육은 보다 빠른 시간에 최대의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반면에 잘못된 교육을 통해 얻어진 지식은 평생동안 고치지 않는 것이 되기도 한다.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대부분의 것들은 단지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으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의 인센티브에 따라 때로는 같은 상황에 대해 다르게 결정할 때도 있다.
축구를 좋아하는 나에게 첫 장의 페널티킥의 사례는 무척 흥미롭게 다가왔다.
분명 많은 페널티킥을 보았지만, 골키퍼가 서 있는 가운데로 공을 차 골을 넣은 선수는 2골을 넣은 것 이상의 흥분을 불러 일으킨다.
그런데 확률상 가운데로 차는 페널티킥의 성공률이 제일 높다니 조금은 놀랍다. ㅎㅎ
선수들은 그걸 알고 있지만 그렇지 않는 이유는 바로 심리적인 부분때문이다.
가운데가 아닌 좌,우로 공을 차면 넣을 수 있었던 것을 골키퍼가 잘해서-과학적으로 보면 골키퍼의 판단이라는 운이 좋은 것이다- 막은 것이지만, 가운데로 차서 넣지 못하면 그 비난은 엄청나기 때문이다.
우리도 일상생활에서 이런 심리적인 이유로 이성적인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경우가 있지 않았던가?

모든 것은 작은 아이디어에서 시작한다.
저자들은 겸손하게도 스스로는 큰 일을 해결하지를 못하기에 작은 일을 해결하려고 한다고 한다.
그 작은 일은 위의 예처럼 데이터와 감정사이의 간극을 좁히거나, 뒤집는 것들일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루는 사례들 모두가 무척 흥미있으며 이런 괴짜들이라면 언제나 환영받을 것이다.

이 책이 괴짜경제학 시리즈의 마지막이라는 점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