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이 바다를 건넌 날 - 한국과 일본, 라면에 사활을 건 두 남자 이야기
무라야마 도시오 지음, 김윤희 옮김 / 21세기북스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라면.

짜장면과 더불어 우리나라 국민들의 입맛을 자극하는 음식이다.
외국여행시 꼭 챙기는 2가지가 있는데, 바로 라면과 김치이다.
왜 외국을 가면 그렇게 라면이 먹고 싶은지..ㅎㅎㅎ

이 책은 이 라면이 어떻게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지게 되었는지를 알려준다.
저자는 일본인으로 한국을 무척이나 좋아하는 친한파이다.
우리나라에서 유학 생활을 했고, 우리의 문화도 무척이나 즐겼다.
그는 일본의 라면과 우리나라의 라면의 태생을 같이 보여주고 있다.
일본과 한국으로 분리해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순으로 일본과 한국에서의 상황을 함께 보여주기에 그 흐름이 더 잘 보여진다.

일본의 묘조식품의 오쿠이 기요스미가 라면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보고 있노라면 라면을 이렇게 쉽게 먹어도 되어도 될까 싶다.
추천사에 있는 김정운의 말처럼 너무 흔하다고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고마움은 잘 느끼지 못했던 것 같다. ^^;;

일본도 패전-우리에게는 해방이지만- 후 식량난에 처했고, 그것을 본 기요스미가 단지 건면만 생산할 것이 아니라, 좀 더 편하고 싸게 먹을 수 있는 것을 만들고자 한다.
라면을 건조시키고, 그 라면에 국물을 넣기위해 무척이나 많은 실패와 도전을 하였고 결국 지금의 분말스프를 별첨으로 하는 라면이 탄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라면의 탄생 또한 일본과 같다.
6.25 전쟁 이후 식량난을 본 전중윤은 해방 후 하던 보험사업을 접고, 라면사업에 도전한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라면은 삼양식품에서 나온 것이다.
우지파동으로 인해 최고의 자리는 농심에 넘겨주었지만, 지금까지도 친구라면이라는 이름으로 나오고 있다.
당시 일본과의 기술을 제휴하기란 상상도 하지 못할 일이였다.
하지만, 전중윤의 열정과 라면을 만들기 위한 동기가 자신과 같음을 느꼈던 기요스미가 라면 스프의 배합표를 건네준다.

책은 라면의 역사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양국의 라면의 탄생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부록으로 나오는 라면에 대한 정보는 새삼 옛 추억을 떠오르게 만든다.

'라면' 하나에도 이토록 많은 애환이 있었고, 우리는 이 라면을 통해 추억을 떠올린다.
그래서인가...
라면은 그 어떤 용기보다 조금은 찌그러지고, 바닥에 그을음이 적당히 있는 양은냄비에 넣고 끓여 뚜껑으로 먹는 것이 제일 맛있는 것 같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