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가 믿는 만큼 크는 아이 - 용기 있는 아이로 키우는 아들러 육아
기시미 이치로 지음, 오시연 옮김 / 을유문화사 / 2015년 6월
평점 :
이 책의 저자는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 기시미 이치로다.
'미움받을 용기'로 아들러의 심리학을 처음 접했는데 마르크스와 융만을 알던 나에게 무척이나 신선한 자극이였다.
그 저자가 육아에 대한 책도 썼다고 해서 망설임없이 선택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아이들에게도 아들러의 심리학적 접근을 말하고 있다.
아이에게 용기를 심어주라는 것이다.
모두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아이의 행동을 이해하자
- 아이를 야단치지 말자
- 아이를 칭찬하지 말자
- 아이에게 용기를 주자
- 아이가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자
- 아이와 좋은 관계를 형성하자
아이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알아야 한다.
아직 많은 것을 모르기에 무지에서 오는 실수, 실패는 당연하게 부모가 받아주고, 다음부터는 동일한 일을 하지 못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이가 잘못된 행동임을 알고 있는 경우에도 그런 일을 하는 때가 있다.
왜?
저자는 아이가 '주목받고 싶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어른의 주목을 끌기 위해 하지 말아야 할 사고나 실수를 저지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런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할 수 있을까?
바로 무관심이다.
미움보다 무섭다는 바로 그 무관심이다.
대부분-나만 그럴까?-의 부모들은 이럴 때에는 혼내거나, 야단을 친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이것만큼 확실하게 주목받을 수 있는 것이 없을 것이다.
그런 일을 해도 아이들이 주목받을 수 없다는 것을 알면 그런 행동을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언제 관심을 기울어야 할까?
올바른 행동을 했을 때 관심을 쏟아주어야 한다.
부모는 늘 아이에게 관심을 기울인다고 하지만, 특별하게 나쁜 행동을 하지 않으면 무심코 넘어가는 경향이 있다.
오히려 그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올바른 가정 교육의 결과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럴 때 아이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어떻게?
저자는 그 방법이 칭찬이 아니라고 말한다.
솔직히 이 부분에서는 많은 의구심과 반발이 들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하는 것이라는데, 그 칭찬을 하지 말라니??
칭찬의 부작용으로 아이가 칭찬을 받을 사람이 곁에 없으면 능동적으로 일을 해결하지 않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어른이나 아이나 모두 동등한 관계로 보라고 말하고 있다.
즉, 어른이 아이보다 위에 있거나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이 아니기에 아이를 야단칠 수도 없고, 칭찬할 수도 없다는 것이다.
야단, 칭찬과 같은 것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하는 것이 아니였던가?
그래서 저자가 제시하는 방법은 칭찬이 아닌 '용기를 주는 것'이라고 한다.
'고마워'와 같은 말로 아이가 한 행동은 아이 스스로가 결정하고 선택한 것임을 알게 해주고, 함께 어울려 사는 세상에서 자신이 하는 일이 있음을 자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내가 이 책에서 가장 소중하게 간직하고 싶은 것은 바로 이것이다.
"육아의 목표는 아이가 자립하는 것이다.
부모는 아이를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자라는 것을 지원해 주는 것 뿐이다."
어쩌면 그동안 나는 부모라는 핑계로 나의 욕심을 아이에게 강요한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게 되었다.
아이가 아이 자신의 인생을 살 수 있도록 곁에서 지켜보고, 힘들 때 도와주는 것.
그것이 부모가 아이에게 가장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는 방법이란 생각이 든다.
지금까지 난 아이들의 감독이였던 것 같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가장 열렬한 서포터즈가 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