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생존 -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살아남은 나무 이야기
레이첼 서스만 지음, 김승진 옮김 / 윌북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는 갑자기 무슨 바람이 불어서 이 어마어마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을까?
누가 후원해 주는 것도 아니고 시킨 것도 아닌데...
비꼬는 게 아니라,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한 말이다.

저자는 자비를 들여서 세계곳곳의 험난한 곳을 찾아 다녔다.
단지, 오래된 식물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이 책에서 소개된 제일 어린(?) 식물이 2,000살 이상이다. 

책머리에는 저자가 왜 이런 엄청난 프로젝트를 시작했는지를 말하고 있다. 
서문과 두개의 에세이로 이루어져 있는데, 참으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드는 글이다.
그리고 각 대륙별 고령의 식물들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가 찾지 못한 그 어딘가에 여기에서 소개하는 식물보다 더 오래된 식물들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이 책에 나오는 식물은 충분히 고령이다.
저자는 식물과 그 식물을 찾아나선 이야기, 식물에 관련된 이야기들을 멋진 사진들과 함께 소개하고 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최고령 생물은 시베리아에 있는 방선균이다.
대략 40~60만살로 추정된다. 
400,000살이라니...상상이 되지 않는다.

겉표지는 양장에 얇은 천을 덧댄 듯 하고 내지는 사진을 아주 잘 볼 수 있는 종이로 되어있다. 
내용도, 판본도 아주 훌륭하다. 
소장용으로도 아주 멋진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저자가 찾았을 당시에는 있던 생물이 이 책이 출간될 당시에는 없어졌다는 것이다. 
수천년을 잘 살아온 식물이 인간의 부주의로 한순간에 사라졌다. 
'3,000년을 잘 살아온 식물이 3,005년을 못 살 이유가 어디 있는가.'라는 저자의 글에 참으로 많은 울림이 있다.
저자는 생존을 통해 무언가를 이야기 하고 싶었겠지만, 난 오히려 지금까지 잘 생존한 것들의 죽음을 통해 더 많은 것을 생각하고 있다.

지금까지 고령의 식물이라 하면 거대한 것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보면서 오히려 그렇지 않은 것이 많음을 보고 적잖이 놀랐다. 
모든 생물은 자기 나름의 성장속도가 있는 것인데, 그 속도를 내가 너무 편향적으로 생각했던 듯 하다.

수천년을 살아온 식물들을 통해 수십년을 살다 갈 나를 생각해 본다.
그들에게 우리 인간의 삶은 우리가 보는 반딧불이의 생과 같아 보일 것이다.

그 짧은(?) 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더구나 이제 절반밖에 남지 않은 나의 삶에 대해 더 많이 생각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