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판 사회 - 땅콩회항 이후, 기업경영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김봉수 외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5월
평점 :
'땅콩회항'으로 불리는 대한항공의 사건이 이 책의 화두이다.
갑질 논란이야 이전에도 있었지만, 이번 사건이 두드러진 것은 그간의 갑질 사건들이 한꺼번에 폭발하는 도화선이 되었다.
누구의 말대로 조현아 측에서는 억울한 면도 없지 않아 있을 듯 하다.
여기서 억울이란 '남들은 괜찮았는데, 왜 나만?'이라는 상대적인 피해의식일 것이다.
이는 단지 비행기를 돌려세운 조현아의 잘못만이 아니라, 그간 언론을 상대한 대한항공의 자세에서도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평소에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면 이렇게까지 크게 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아! 절대 갑질을 옹호하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이다.
이 책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평소의 관계, 즉 '평판'이다.
평판이 좋은 회사-사람-은 위기에서도 그것을 벗어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상대적으로 많다.
그렇지 않더라도 도움을 주는 사람이 있다.
이 책에서 주로 말하는 것은 위기 관리이다.
그리고, 그 위기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평판이라는 것이다.
오너리스크.
이는 양날의 칼이다.
지금까지 그 기업이 성장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오너의 선택이 옳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오너의 선택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절대적인- '지시'가 된다.
더구나 거기에 자신의 직장에서의 경력이 달려있다면??
결코 반대를 쉽게 할 수 없을 것이다.
위기관리에는 정형성이 없다.
언제, 어디에서 터질지 모르기에 위기라는 것이다.
물론, 사전 조짐이 보이는 위기도 있지만, 그 모든 것을 위기라고 한다면 조금 심한 말로 언제 땅이 꺼질지 모르는 사태까지 준비해야 할 것이다.
다만 막상 위기가 닥쳤을 때, 그것을 어떻게 잘 마무리 하느냐가 중요하다.
바로 그것에 기업의 성패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개인에게도 유효하다.
이 책의 마지막에 있는 조현아 땅콩사건의 정리가 매우 인상적이다.
대한항공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꽤 많이 있었음에도 그리 하지 못하였다.
제 2의 대한항공이 나오지 말라는 법은 없다. 아니, 나올 것이다.
다만, 우리가 그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미리 대응할 수 있는 준비를 해 놓아야 할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가장 핫 이슈인 마르스도 이와 같다.
현재의 대한민국은 위기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일까?
불과 1년 전에 있었던 세월호라는 엄청난 사건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관리체계는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듯 하다.
참으로 많이 안타깝고 또 안타깝다.
그들에게 이 책을 꼭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