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남기는 관계의 비밀 - 결과만 얻으면 하수, 사람까지 얻어야 고수다!
김대식 지음 / 북클라우드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대의 휴대전화, 4만개의 전화번호, 하루에 350건의 통화.
정말 어마어마하다.
영업사원이라면 모를까-영업사원도 이 정도면 신적인 존재 아닐까- 그냥 평범한(?) 사람이 이 정도라면 정말 대단하다.
때로는 그 전화에, 그 관계에 지칠법도 한데, 지치지 않는 그 힘의 원천은 무엇일까?

저자는 '사람'에 대한 무한긍정의 마인드가 있는 듯 하다.
그도 분명 사람으로 인해, 관계로 인한 아픔이 있었을 터인데, 그 아픔은 이 책에서 보이지 않는다.
어떻게 해야 사람을 만날 수 있고, 그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을지에 대해 말하고 있다.
사실 만나는 것이야 지금보다 조금 더 노력하면 가능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만남을 우연이 아닌 인연으로 만들어 내기란 정말 대단한 정성이 필요하다.

이 책을 보면서 당연하겠지만, 나의 인간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연례행사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실제로는 지우는-하는 연락처.
그 연락처는 아무리 많아도 천개가 넘지 않는 듯 하다.
그나마도 1년에 한 번이라도 통화나 연락을 하는 사람은 절반 정도나 될까?
직장인이기에 일을 제외한 사생활을 누릴 수 있는 시간이 그리 많지 않음을 고려해도 적은 듯 하다.

누군가 관계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결국 '관심'의 문제라고..
그렇다.
누군가에게 연락하고, 받는다는 것은 결국 관심의 문제인 것이다.
그 관심이 비즈니스적인 것이든, 인간적인 것이든...

'첫인상이 아니라 마지막 인상이 중요하다. '
이 책에서 가장 인상깊은 문장이였다.
관계를 말할때 대부분 첫인상을 강조한다.
그러나, 저자는 마지막 인상을 강조하고 있다.
생각해 보면,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보면 첫인상보다는 마지막 인상이 좋았던 사람들인 것 같다.

솔직히 난 저자의 4만개의 전화번호가 부럽지는 않다.
다만, 지속적으로 그 인맥을 관리할 수 있는 저자의 '관심'-열정이라고도 볼 수 있지 않을까-이 부러울 뿐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을 알고 있느냐'
'얼마나 깊게 사람을 알고 있느냐'
이는 사람마다 주관이 매우 다르다.
그 무엇이 되었든 적어도 '적은 사람을 얇게 아는 사람'은 되지 말아야 겠다.

비록 내가 먼저 줄 그릇이 못 될 지언정, 받은 것에 대해 감사의 말은 전하고 살아야겠다.

오늘 저녁에는 그 사람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