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기에 자유는 게으름, 나태가 아닌 편안함으로 인식되어 지는 것이다.
"레디메이드(ready-made)"
이미 만들어진 것을 예술로 본다는 것, 정말 멋진 프레임의 전환이다.
머리속에 어떤 형태로든 고착화 되어 있는 것은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기가 힘들다.
이는 인간의 본성에 반대되는 행동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아직 고착이 되어 있지 않은 아이들의 생각이 때로는 놀랄만큼 창의적이기 하다.
이런 아이들의 마음을 다시 가져야겠다.
"희망은 실로 재앙 중에서도 최악의 재앙이다.
왜냐하면 희망은 인간의 고통을 연장시키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희망고문이라고 얘기하는 것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런데 이건 어떻게 보면 결과론적인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결과가 좋지 않을 때는 위의 말이 성립이 되지만, 좋은 결과를 얻었을 때는 그렇지 않다.
Boys, be ambitious.
둘다 좋은 말이기는 하지만, 선택은 본인의 몫이다.
내가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희망에 대한 관점이 달라질 것이다.
첨언하자면, 이런 희망이 없다면 인류의 발전은 없었을 것이다.
남들이 부질없다고(?) 말하는 그 희망을 가지고 열심히 노력한 사람들이 인류이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도 바로 이런 노력도 없는 희망의 부질없음을 말하고 있다.
의지의 자유를 가지는 주체가 행하는 노동만이 고귀하다.
참으로 멋진 말이다. 그냥 멋지기만 한 것이 아니라 큰 울림이 있다.
이전에는 근면, 성실을 내세웠고, 당시의 시대에는 당연시 여겼던 덕목이다.
당시는 1,2차 산업이 성장기에 있었고 산업의 특성상 노동력에 비례하여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지금의 시대는 '단순하게' 근면, 성실하기만 하면 오히려 자신의 정력만 낭비할 수도 있다.
근면과 성실의 덕목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근면과 성실은 생산성 향상의 한 덕목이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진정으로 생산성 향상을 생각한다면 무엇이 우선시되어야 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자기 보존의 욕구는 미덕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토대이다."
이기주의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하게끔 만든 문구이다.
자기 보존,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것이 틀린 것은 아니다.
어쩌면 가장 '인간'다운 행동일 것이다.
다만, 기준의 잣대를 '나'하나만으로 국한시킬 것이 아니라 조금 더 범위를 넓혀 '우리'라는 관잠에서 봐야되지 않을까 싶다.
자신의 이익과 상대방의 불이익을 함께 고려해야 되지 않을까.
자기 '보존'의 영역을 어디까지 보느냐는 무척 주관적인 것이고, 그 결정에 따라 무척 무서운 일도 벌어질 수 있음을, 아니 있었음을 우리는 역사를 통해 이미 알고있다.
이 밖에도 너무나 좋은 문구와 내용들이 가득하다.
출,퇴근길에 보기에도 좋겠지만, 난 당분간 곁에 놓고 내 생각의 프레임을 바꾸고, 넓히기 위해 꽤 오랫동안 봐야 할 듯 하다.
발칙하지만, 결코 무례하지 않은 니체와 함께 하는 시간은 분명 후회하지 않는 선택이고, 시간이였음을 알게 될 것이다.